[인터뷰] 인사동 도장 장인 대진사 윤종현씨

   
 

인장의 역사는 유구한 것이며 우리 일상에 필수품으로 자리 잡은 지 오래다. 또한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이라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도장은 개인이나 단체의 이름을 새겨 찍도록 만든 도구이다. 공사(公私)의 문서에 찍어 책임과 권위를 입증하는 물건이다. 그래서 신(信), 印(인),인장(印章)이라고도 한다. 국가를 대표하는 도장 은 국새(國璽)라고 하며 서예나 그림에 자신의 작품을 인증하기 위해 찍는 낙관이라고 한다. 현재 우리는 대부분 문서에 사인을 하지만 중요한 문서는 도장을 날인하는 경우가 많다. 어떤 때에는 어느 도장을 날인하느냐에 따라 문서의 중요성이 달라지기도 한다. 그래서 도장은 실용인장과 예술인장으로 구분된다. 실용인장은 구비서류나 문서 등에 쓰이는 일상의 도장을 말한다. 예술인장은 그림이나 글씨에 낙관으로 사용되는 전각을 말한다. 시대발달과 더불어 도장의 존재가 좁아지고 있지만 그래도 우리주변에는 도장의 쓰임새가 여전히 많다. 우리는 아직도 중요한 업무계약이나 주택이나 빌딩을 계약할 때 우리는 어김없이 도장을 사용해야 안심이 되는 것이 인지상정일 것이다.

 

   
 

인장의 역사

고대 인장은 신성한 영물이었다. 주술적인 혹은 호부로서의 인장이 인류최고의 도시문명을 일으켰던 메소포타미아에서 기원전 400년경에 사용되었다고 한다. 돌이나 조개껍질 따위를 이용해서 문자나 문양을 인각한 스템프식 인장이나 원통형의 인장이 당시의 상류층이었던 슈멜인에게 장신구 구실을 하면서 호신의 부적으로 사용했다. 우리나라 인장역사는 환인이 아들 환웅에게 천하를 다스리고 인간세상을 구하게 함에 있어 천부인 세 개를 주어 보냈다는 삼국유사에 기록이 있다. 도장을 도장 찍은 사람의 서명에 해당되는 용도로 쓰기 시작한 것은 고려시대에 시작됐다고 할 수 있다. 나염과 함께 문양을 찍거나 오래 보존할 수 있는 정도의 기술은 이 시대부터 시작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조선시대에 와서는 특히 서예를 하는 사람들이 자신이 쓰거나 그린 것이라는 증표를 하기 위해 낙관을 사용했는데 이것이 근대적인 도장의 시초라고 볼 수 있다. 당시 서민은 도장을 새길 수 없었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었고 서예를 하는 본인이 직접 낙관을 새겨 사용했다. 도장의 어원은 인장(印掌)에서 온 것으로 보이는데 즉 도장을 새길 수 없는 상태에서 서명을 하기 위하여 글을 모르는 사람이 서명하는 방법으로 자신의 손바닥을 먹에 묻혀 찍는데서 온 것으로 보이며, 안중근 의사가 일본의 감옥에서 쓴 글(大韓國人)에 자신의 인장(손바닥 도장)을 찍은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나의일터는 이웃과 더불어 사는 곳이다.”라고 언급하고 있는 智江 尹鍾賢(대진사 730-5755)씨는 뇌병변 장애를 앓고 있는 장애인이다. 1988년 삼육재활원에서 기능사자격을 취득하기 위해 컴퓨터 자격관련 공부를 하고자 했지만 장애인이라는 현실 앞에 꿈을 접어야 했다. 그 와중에 방황도 했었고 자신의 처한 현실을 받아들일 수 없었다. 하지만 한사회인의 구성원으로 살아나기 위해선 무언가를 하여야만 했다. 그 일이 바로 전각(篆刻)분야였다고 한다. 이일을 마음먹고 결정하기에 윤종현 씨는 5년이란 세월을 보내야 했다. 종로에 있는 ‘노고당’이라는 도장집에서 기술을 배우며 익혔다. 결국에는 1993년 7월 인장 공예기능사 자격을 취득하여 자신의 일을 시작하게 되었다. 하지만 도장일을 하는 것도 처음에는 만만치 않았다. 뇌성마비라는 장애로 체력이 힘들었기 때문이다.

   
 

외국인도 한국 방문 기념으로 예술인장을 새겨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도 이제는 많다. 한류열풍이 불면서 세계 각국에서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진 것이 한 몫 한 탓이다. 한국음식과 노래는 이젠 세계인들의 마음속에 서서히 스며들고 있다. 이곳 인사동도 예외는 아니다. 한국문화를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이 인사동 골목이기 때문이다. 이곳 윤종현 씨가 운영하고 있는 대진사에는 손님중 절반이 외국손님이다. 윤 사장의 도장을 보며 원더풀이라고 하며 감탄을 한다. 더구나 외국인뿐만이 아니다. 이름만 대면 알 수 있는 국내 유명인사도 그의 단골손님이다.

천직으로 알고 죽을 때까지 이 일터를 지킬 것이다

내 평생에 걸려있는 이일을 소홀히 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 윤종현 씨는 혼신을 다해 일에 임했다. “사람은 체력만으로 사는 것이 아니라 정신력으로 사는 것입니다. 체력의 한계를 느낄수록 정신력으로 소중한 자아를 끝까지 이끌고 가야합니다.”라며 장애인들의 각오를 언급했다. 오늘도 윤종현 씨는 인사동 1평 남짓 작은 공간에서 예술적 투혼으로 인장을 새기고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