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홍상현 기자】농촌 지역 국회의원들은 죽을 맛이다. 자칫하면 자신의 지역구가 사라질 위기에 놓이게 됐으니 말이다.

야당은 권역별 비례대표를 도입하자면서 국회의원 정수를 늘리자고 제안했다. 하지만 새누리당은 국민 정서 상 용납할 수 없다면서 300석으로 못을 박았다.

야당 역시 여론의 역풍을 맞이하면서 300석으로 못을 박았고, 결국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에서 300석으로 고정시켜놓았다.

문제는 비례대표를 증가할 것인가 아니면 지역구 국회의원을 대폭 증가할 것인가의 문제를 놓고 여야의 의견이 엇갈렸다.

새누리당은 비례대표를 줄여서라도 농촌 지역의 지역구 국회의원 숫자를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권역별 비례대표 도입을 위해서는 지역구 국회의원 숫자를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런데 새누리당이 지난 25~26일 의원 연찬회를 거치면서 현재 지역구 의석 246석을 그대로 유지하기로 결론을 내렸다.

246석으로 확정한다는 것은 결국 농촌 지역 의석수의 축소를 의미한다. 헌법재판소가 각 지역구의 최소·최대 인구수 편차를 ‘2대1’로 맞추라고 결정했다. 따라서 인구비례에 따라 인구가 많은 도심지역은 의석수가 늘고, 적은 농촌지역은 줄어들게 된다.

농촌 지역 의석수가 상당히 많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 새누리당의 시나리오 대로라면 10석 내외가 될 것으로 보여진다.

여기에 새정치민주연합은 지역구 국회의원과 비례대표 비율을 2:1로 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즉, 지역구 국회의원 200명에 비례대표 100명을 하자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지역구 국회의원 숫자가 46석이 줄어들게 된다. 이는 결국 농촌 지역 의석수가 대폭 줄어들 수밖에 없다.

현재 입장으로 본다면 새누리당 방안이나 새정치민주연합 방안이나 모두 농촌 지역 의석수가 상당히 많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

특히 호남에 비해 영남의 의석수가 2배 이상 많고, 그만큼 농촌 지역이 많기 때문에 새누리당으로서는 상당히 손해 보는 상황이 된다.

문제는 과연 농촌 지역 국회의원들을 얼마나 설득할 수 있겠느냐는 것이다. 벌써부터 농촌 지역 국회의원들의 반발이 상당하다.

27일 정개특위 소위는 파행으로 내몰렸다. 28일 본회의를 앞두고 예정된 의원총회에서는 농촌 지역 국회의원들의 성토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농촌 지역 국회의원들은 “선거구가 재획정된다면 농어촌 지역의 대표성이 상당히 축소될 위험성이 있고첨예한 이해관계에서 민의가 왜곡된 결과로 나타날 수 있다”면서 반발하고 있다.

이런 반발을 얼마나 무마시키면서 농촌 지역 국회의원 숫자를 줄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