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판사 창해

【투데이신문 전소영 기자】2015년 12월 28일 한국과 일본의 각 외교부장관은 ‘위안부’ 문제에 대한 합의를 체결했다. 일명 ‘한일합의’라 불리는 이 협상은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각국의 위안부 피해 여성들의 수십 년간의 호소에 귀 기울이지 않고 한국과 일본의 이해관계에 따라 체결된 것이라는 의혹이 강하게 불었다. 가해자들에 대한 법적 책임은 물론이고 공식적인 사죄와 배상은 없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협상 과정에서 배제된 피해자들이 협상 결과를 강요받기까지 했다.

그리고 2016년 7월 28일 정부의 주도 하에 위안부 피해자 지원재단인 ‘화해·치유재단’이 공식적으로 출범하기에 이른다. 한국과 일본 정부는 조만간 외교부 국장급 협의를 통해 군위안부 피해자 지원재단 출범에 따른 후속 조치를 논의할 계획이다. 하지만 정작 재단활동의 주인공이 돼야 할 위안부 할머니들은 일본 정부 최고책임자의 공식적인 사과와 법적 배상 없이 오롯이 위로금 형식으로 지급된 10억엔으로 재단이 운영되는 것을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한일합의가 한국과 일본,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등 국제사회에서 갖는 의미는 무엇일까. 아베 정권은 지금까지 위안부 문제에 대해 어떤 태도를 보여 왔으며 향후 어떻게 대응할까. 과연 한일합의는 앞으로 어떻게 진행될까.

그동안 일본에서 위안부 문제 해결을 꾸준히 촉구해온 연구자나 시민운동가 사이에서도 한일합의에 대한 평가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전면적으로 비판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 어느 정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이도 있었다. 그들의 생생한 목소리가 담겨있는 것이 바로 책 <일본 활동가들이 말하는 한일 ‘위안부’ 합의의 민낯>이다.

<일본 활동가들이 말하는 한일 ‘위안부’ 합의의 민낯> 가해자의 진정한 사과도, 피해자의 용서도 없는 기묘한 화해를 체결한 고도의 정치적 속임수에 대해 고발한다.

1부에서는 위안부 피해자와 지원 단체의 요구 및 활동을 살펴보고 위안부 문제의 역사적 경과와 본질로 돌아가 한일합의의 실체를 밝힌다. 2부에서는 그동안 위안부 문제를 연구해온 연구자와 변호사, 시민 등 다양한 위치에 있는 사람들의 생각을 담았다.

33명의 저자 모두가 한일합의에 대해 공통된 인식을 가진 것은 아니다. 각자의 배경이나 상황에 따라 독자적인 견해를 품고 이를 평가했다.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사회의 여러 가지 의견과 견해가 궁금하다면 책 <일본 활동가들이 말하는 한일 ‘위안부’ 합의의 민낯>을 읽어보길 바란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