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시스

【투데이신문 홍상현 기자】 새누리당의 정치 파업이 장기화 국면으로 돌아섰다. 이정현 대표가 국감에 복귀해야 한다고 제안했지만, 소속 의원들은 거절 의사를 밝혔다. 이로 인해 정치 파업은 장기화의 국면에 놓이게 됐다.

새누리당으로서는 현재 출구 전략이 없다. 정세균 국회의장 사퇴를 전제조건으로 내건 이정현 대표의 단식 농성도 현실 가능성이 없는 전제조건이다.

이로 인해 민심은 등을 돌릴 수밖에 없다. 이미 이정현 대표는 정치적 타격을 한 번 입은 상황이다. 여기에 민심마저 등을 돌리게 된다면 이정현 대표의 정치적 입지는 좁아질 수밖에 없다.

문제는 이정현 대표의 정치적 입지가 좁아지는 것으로 그치면 다행이겠지만 새누리당 전체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새누리당으로는 도저히 정권 재창출이 안된다고 판단을 하게 되면 보수층마저 등을 돌릴 수밖에 없다. 실제로 지난 총선 당시에도 보수층이 등을 돌리면서 새누리당은 상당히 큰 타격을 입었다.

때문에 새누리당은 이정현 대표를 중심으로 똘똘 뭉쳐야 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미 균열은 시작됐다. 국감 복귀를 놓고 친박과 비박이 둘로 갈리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이정현 대표의 리더십은 상처를 입었다. 이로 인해 가장 크게 불안한 인물은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다. 반 총장이 귀국한 후 과연 새누리당 대선 후보로 나서도 승산이 있겠느냐는 의구심을 품을 수밖에 없는 상황인 것이다.

새누리당이 이정현 대표 체제를 중심으로 똘똘 뭉쳐도 대선에서 승리할 수 있을지 여부도 불투명한데 당이 둘로 갈라져 있으니 반 총장의 입장에서 새누리당 대선 후보로의 출마를 저울질할 수밖에 없다.

이에 일각에서는 반 총장이 새누리당 대선 후보가 아닌 제3지대에서 출마할 가능성도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워낙 새누리당이 혼란스럽기 때문에 새누리당 대선 주자로 나서는 것이 실익이 없다고 판단되면 제3지대 후보로 나설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반 총장과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의 대선 경선이 성사될 수도 있다는 시나리오도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