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김부겸 의원, 문재인 전 대표, 박원순 서울시장, 정의당 심상정 대표,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 더불어민주당 안희정 충남지사, 이재명 성남시장, 국민의당 천정배 전 대표 ⓒ뉴시스

【투데이신문 홍상현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29일 대국민담화를 통해 자신의 퇴진을 국회에서 논의해달라고 하면서 여야 대권 주자들의 셈법은 더욱 복잡해졌다.

대통령의 퇴진 시기와 방법을 놓고 주판알을 튕겨야 하는 상황이 됐기 때문이다. 퇴진 시기에 따라 여야 대선 주자의 이익이 완전히 차이가 난다.

즉시 퇴진을 했을 경우 대선 주자들로서는 60일 안에 대선 경선과 대선 본선을 치러야 한다. 물리적으로 촉박한 일정이다.

그런 상황이라면 아무래도 여론조사 지지율 1위를 달리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에게 상당히 유리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다른 여야 대권 주자들은 즉시 퇴진에 대해서는 난감해하고 있다. 하지만 촛불민심이 즉시 퇴진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여야 대권 주자들도 즉시 퇴진을 요구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속내는 내년 4월 이후를 원하고 있다. 그래야만 자신들도 준비할 시간을 벌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새누리당은 사실상 대권 주자가 없기 때문에 가급적 그 시기를 늦췄으면 하는 바람을 갖고 있다.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로서는 즉시 퇴진 역시 나쁘지는 않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내년 1월 1일 귀국을 한다고 했다. 그 이전에 퇴진해서 대선 정국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결국 국민의당과 새누리당이 하나로 연대할 가능성이 높다. 대선 주자가 없는 새누리당으로서는 반기문 사무총장 대신 안철수 전 대표를 선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다른 대권 주자로서는 가급적 늦게 대선을 치르는 것이 유리하다. 하지만 그런 속내를 밝힐 수는 없다.

또한 개헌 문제도 남아있다. 개헌을 연결고리로 해서 새누리당 비주류와 국민의당이 연대할 수도 있는데 그러자면 시간이 있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즉시 퇴진에 대해서는 난감한 상황이다.

이처럼 박 대통령의 퇴진 시기와 방법을 놓고 이해득실이 있기 때문에 박 대통령의 퇴진 시기를 정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때문에 야당은 아예 탄핵을 추진하는 것이 오히려 현명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새누리당 역시 탄핵 이외에는 방법이 없다고 판단하고 있다. 탄핵을 하면 헌법재판소에서 심리를 해야 하기 때문에 그만큼 시간을 벌 수 있다 판단하고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