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베 신조 일본 총리 ⓒ뉴시스

【투데이신문 장승균 기자】 한반도 주변을 둘러싼 강국들이 우리나라가 탄핵 정국으로 들어선 틈을 노렸다. 탄핵 정국으로 인해 대통령의 권한이 정지되면서 사실상 외교력도 올스톱된 상태이다. 그러다보니 주변 강대국들의 빠른 변화를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가장 먼저 급부상하는 문제는 바로 대일외교이다. 일본 정부는 부산 일본영사관 앞 소녀상 설치를 문제 삼고 나섰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지난 6일 사전 녹화한 NHK 프로그램 ‘일요토론’에서 “10억엔을 냈으니 한국이 제대로 성의를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그 이후 9일 나가미네 야스마사 주한 일본대사가 일본 정부의 결정에 따라 김포공항을 통해 일본으로 귀국했다. 앞서 모리모토 야스히로 부산총영사 역시 일본으로 돌아갔다.

대사의 일시 귀국은 ‘단교’ 다음으로 높은 수위의 외교적 대응이라고 할 수 있다. 그만큼 일본은 소녀상 철거에 대해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일각에서는 일본이 민감하게 대응하는 이유는 차기 정부에서 한일합의를 깨지 않을까라는 우려 때문에 미리 기선제압을 하기 위한 것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미국에 대한 외교 역시 어둡기는 마찬가지다. 오는 20일 취임할 예정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와의 외교적 관계 유지가 상당히 힘든 것이 사실이다.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방미에 올랐다. 뉴욕 및 보스턴 등에서 로이드 블랭크페인 골드만삭스 회장, 스티븐 스워츠먼 블랙스톤 회장 등과 면담을 가지기로 했다.

하지만 차기 트럼프 내각 인사들과 직접 면담을 하지 못하고 있다. 때문에 그 한계는 드러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일본 아베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되자마자 미국으로 가서 트럼프 당선자와 회담을 가진 것과 비견되는 대목이다. 현재 박근혜 대통령이 권한정지가 된 상태이기 때문에 트럼프 당선자와 회담도 가질 수 없는 그런 처지이다.

중국의 경우에는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의 한반도 배치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경제적 보복은 물론 군사적 보복마저도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한반도가 상당히 난감한 상태에 놓이게 됐다.

이처럼 한반도 주변 강국이 우리 정부의 탄핵 정국으로 인해 외교력을 발휘하지 못한 틈을 노려서 자국의 이익을 강화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 정부는 손을 놓고 있는 상황이다. 어찌해야 할 틈이 없다는 것이다.

방법은 하루라도 빨리 탄핵이 기각돼서 박근혜 대통령의 권한 정지가 풀리거나, 탄핵이 인용된 후 차기 대선을 하루라도 빨리 치러서 새로운 정부가 출현하는 것 이외에는 방법이 없다. 때문에 오늘도 우리의 외교가는 속만 태우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