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 AI융합연구센터’ 연구 세계 석학 우려
“해명은 카이스트, 대량살상무기 생산은 한화”

한화시스템과 KAIST가 지난 2월 20일 KAIST 나노종합기술원에서 장시권 대표이사와 신성철 총장 등 양 기관 주요 관계자가 함께 한 가운데 국방 인공지능 융합연구센터 개소식 및 현판식을 가졌다(사진=한화시스템 제공)
한화시스템과 KAIST가 지난 2월 20일 KAIST 나노종합기술원에서 장시권 대표이사와 신성철 총장 등 양 기관 주요 관계자가 함께 한 가운데 국방 인공지능 융합연구센터 개소식 및 현판식을 가졌다(사진=한화시스템 제공)

 

【투데이신문 최병춘 기자】 국내 방산기업 한화시스템이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하 카이스트)과 함께 세계 석학들로부터 인명 살상용 AI무기 개발에 나선 것 아니냐는 의심을 받고 있다. 

4일(현지시간) 영국 경제 일간지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토비 월시 미국 뉴사우스웨일스대 교수 등 로봇학자 50여명은 다음 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는 유엔의 자율살상무기 관련 논의를 앞두고 카이스트와 어떤 협력도 하지 않겠다고 보이콧을 선언했다.

이들은 공개서한을 통해 “카이스트가 AI기술을 이용한 무기를 개발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국방인공지능 융합연구센터를 열고 무기 개발 경쟁에 나섰다”며 “자율살상무기는 전쟁에서 역사상 그 어느 때보다 큰 인명 피해를 불러올 수 있을 뿐 아니라 테러의 잠재적 도구로 활용될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카이스트는 해명자료를 통해 “국방AI융합연구센터의 설립의 목적은 살상용 무기 또는 공격용 무기개발이 아니다”라며 “방위산업 관련 물류시스템, 무인 항법, 지능무기형 항공훈련 시스템 등에 대한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게 목표”라고 해명했다.

연구센터의 주요 목적은 공군 조종사들이 모의훈련 할 때 사용할 인공지능 기반 프로그램 개발로 살상무기와 무관한 연구라는게 카이스트의 설명이다.

이어 “우리나라 무기개발 시스템에서는 대학이 무기개발 과정에 참여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무기개발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민간기업인 한화시스템은 이번 논란에 대해 “카이스트를 통해 확인하라”며 한발 물러섰다.

한화시스템 관계자는 <투데이신문>과의 전화통화에서 “이번 사건이 공개서한에서 시작된 만큼 카이스트를 통해 입장을 확인하는게 맞을 것 같다”며 말을 아꼈다.

이어 ‘국방AI융합연구센터’ 설립과 연구과제 선정 및 착수 주도권 등 내부 역할에 대해서는 “세부진행 내용을 따로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말했다.

세계 석학들이 문제삼고 있는 ‘국방 AI융합연구센터’는 지난 2월 한화그룹 계열사인 한화시스템이 카이스트와 함께 국방 분야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공동 연구 추진을 위해 설립한 곳이다.

한화시스템 장시권 대표이사는 개소식에서 “KAIST와 긴밀히 협력해 기존 무기체계에 AI 기술을 융합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갖추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한편, 파이낸셜타임스는 카이스트와의 AI 공동연구 외에도 한화시스템의 모기업인 한화가 무고한 민간인까지 무차별 살상한다는 비난을 받아온 집속탄 생산에 관여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집속탄은 대형 폭탄이 수백개의 소형 폭탄으로 분리돼 다수 인명을 상살하는 무기로 현재 119개국이 유엔 집속탄금지협약에 서명했으나 한국은 가입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한화그룹 관계자는 “집속탄은 (주)한화가 만든 것”이라며 “국방부의 요청에 따라 생산되는 구조로 자체적으로 기업 이익을 위해 생산한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