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오전 환경보건시민센터는 서울 종로구 피어선빌딩에서 ‘2차 라돈 침대 기자회견’을 열었다.
28일 오전 환경보건시민센터가 서울 종로구 피어선빌딩에서 '가습기살균제 때도 그랬다, 정부가 안 하면 시민단체가 한다'를 주제로 기자회견을 발표하고 있다. ⓒ투데이신문

【투데이신문 김소희 기자】 정부 발표와 달리 지난 2010년 이전 판매된 대진침대에서도 1급 발암물질인 라돈이 다량 검출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 교환된 침대에서도 라돈이 다량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보건시민센터는 28일 오전 서울 종로구 피어선빌딩에서 라돈 침대 사태와 관련한 2차 기자회견을 열고 탈핵단체 ‘태양의학교’와 조사한 결과 2010년 이전인 2007년 모델에서 라돈이 다량 검출됐다고 밝혔다. 

그동안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는 3차례에 걸쳐 보도자료를 통해 2010년 이후 생산된 제품에서 기준치 이상의 라돈가스가 검출됐다고 밝힌바 있다. 

하지만 지난 20일 센터 조사결과, 서울 여의도의 가정집에서 사용된 지난 2007년 제품에서도 피폭한계인 1mSv(미리시버트) 6.6배가, 라돈아이의 측정값은 254 베크렐로 안전기준(148베크렐)의 1.7배의 라돈이 검출됐다.

이성진 환경보건시민센터 사무국장은 “2007~2008년뿐만 아니라 2002년 제품을 조사한 결과 라돈이 검출됐지만 라돈이 검출된 침대에 대한 관리 감독 규정이 없다”며 정부에 대책을 촉구했다.

또 대진침대가 최근 교체해준 매트리트에서도 라돈이 다량 검출됐다. 

센터는 지난 22일 매트리스가 교환된 서울 노원구의 가정을 직접 방문해, 방사능 수치를 측정한 결과 안전기준의 6배가 넘는 932베크렐의 라돈이 검출됐다.  

이와 함께 오늘 기자회견에 참가한 피해자들은 정부와 대진침대의 허술한 대응에 질책하는 목소리를 높였다. 

피해자 A씨 “정부가 허가한 제품인데, 왜 정부가 나서지 않는가. 빠른 대책을 마련해 수립해줬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또 다른 피해자 B씨는 “5월 8일 첫날 리콜신청했는데 아직도 안 가지고 갔다. 매일 2000개씩 수거한다고 하는데 전화도 안받는다”며 “침대 수거도 안해가는데 과연 밀봉비닐을 보내줄지 의문”이라며 지연되고 있는 수거에 대해 불만을 토로했다.

나아가 라돈 피폭에 따른 치료 대책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피해자 C씨는 “피해자들의 치유가 중요하다”며 “앞으로 피폭을 안 당하게 정부가 만들어야 하지 리콜이나 밀봉비닐 제공은 중요하지 않다” 지적했다.

28일 기자회견에서 이성진환경보건시민센터 사무국장이 ⓒ투데이신문
28일 기자회견에서 이성진환경보건시민센터 사무국장이 정부에 대안을 촉구하고있다. ⓒ투데이신문

이 국장은 “정부는 회수, 교환 절차를 대진에 맡겼다고 하지만 관리 감독에 대한 규정이 없다보니 이렇게 2차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며 “정부의 제대로 된 관리감독과 가이드라인을 피해자들에게 제시해 달라”고 주장했다. 

이어 “정부는 피해자들이 가입한 카페를 통해 정보를 볼 수 있지만 사례를 모으지 않는다”며 “정부가 공식적인 채널을 만들지 않는다면 단체가 나서 신고전화 접수 및 모니터링 하겠다”고 말했다. 

센터는 오는 29일부터 해당 사이트와 전화를 통해 대진침대 사용자의 피해를 접수하고 정부와 제조사에 보완책을 제시할 계획이다.

한편, 매트리스 수거와 보관 과정에서의 안전 우려도 제기됐다.

수거된 대림침대 매트리스는 천안시 서북구 대진침대 본사 앞마당 등에 적재돼 있는 모습이 언론 등을 통해 노출됐다. 하지만 밀폐되지 않은 공간에 대량의 침대가 쌓이면서 이에 대한 피폭 우려도 적지 않다.

이와 관련한 본지 질의에 이 국장은 “침대 수거기사와 운반사는 방호복을 입거나 마스크를 써야하고 전문 차량을 사용해야한다”며 “보관 장소도 밀폐된 장소가 있어야 하며 분리하는 사람도 작업복과 시설이 필요한데 정부는 대진침대에 이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줬는지 알 수 없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