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미래당·민주평화당 모두 탈당 늪에 빠져
평화당 김경진 탈당설 모락모락, 12월 예고
바른미래당 유승민 탈당설, 劉 여전히 침묵
선거법 개정 못하면 대폭 정계개편 이뤄질 듯
소수 야당 의원들의 살아남기, 과연 성공할까

국회 본회의 모습 ⓒ뉴시스
국회 본회의 모습 ⓒ뉴시스

6.13 지방선거 참패 이후 갈 길을 제대로 잡지 못하는 바른미래당과 민주평화당에 탈당 바람이 불고 있다. 곳곳에서 탈당 움직임과 함께 제3지대 창당이라는 얘기가 나돌고 있는 것. 그야말로 탈당의 계절이 다시 돌아왔다. 물론 탈당이 당장 현실화되는 것은 아니지만, 현실성이 높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바른미래당은 정체성 문제 때문에, 평화당은 호남이라는 특수한 사정 때문에 탈당 가능성이 높다는 여론이 뜨겁다.

【투데이신문 홍상현 기자】 ‘쓰까 요정’으로 불리는 민주평화당 김경진 의원이 두문불출하고 있다. 탈당설이 나오고 있는데도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으며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이에 정가에서는 김 의원의 탈당을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다. 다만 당장 탈당을 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오는 12월 탈당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평화당 초선 의원들의 연쇄 탈당이 예고되고 있다. 평화당 이용주 의원은 한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탈당은 와전됐다고 얘기했지만, 실질적으로 오는 12월 탈당할 가능성이 높다. 탈당의 전제조건은 선거법 개정이다. 올해 12월까지 선거법 개정이 이뤄지지 않으면 탈당하겠다는 것이다. 이들의 탈당은 호남 민심 때문이다. 지선 이후 평화당이 정동영 대표 체제로 전환했지만 실질적인 지지율 반등은 보이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에 묻혀 이대로 간다면 평화당이라는 간판이 영영 사라질 수도 있다는 위기의식이 팽배해 있다. 호남 초선 의원들을 중심으로 민주당과 통합을 해야 한다는 생각이 팽배해지는 것은 당연지사다. 당장 민주당에 합류하지 못하더라도 평화당을 탈당해 제3지대를 형성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게 된 것으로 판단된다.

소수 야당 헤쳐모여

이런 가운데 바른미래당 내부에서도 헤쳐모여 움직임이 있다. 지방선거 참패 이후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던 유승민 전 대표의 탈당설이 공공연히 돌아다니고 있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유 전 대표의 탈당을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다. 만약 유 전 대표가 탈당해 자유한국당으로 가게 된다면 친유승민계 의원들의 탈당도 불가피해 보인다. 유승민계의 탈당이 임박한 이유는 손학규 대표 체제에 대한 신뢰가 쌓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유승민계는 보수정당 출신인 반면, 손학규 대표는 진보진영에서 넘어온 사람이다. 따라서 정체성이 맞지 않는 것은 당연지사다. 지난달 18~20일 평양 남북정상회담으로 문재인 대통령이 평양을 방문할 당시 여야 대표들에게 동반 방북을 제안했을 때, 손 대표는 초반에는 방북 의사를 강력히 피력했지만 당내 보수 인사들이 반발하면서 의지를 접어야 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만큼 대북 문제를 놓고 당내에서 이견을 보이고 있다. 때문에 유 전 대표를 비롯한 친유승민계가 자유한국당으로 복당하고 싶어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자유한국당이 당협위원장 일괄사퇴를 받아들이면서 친유승민계가 동요되기 시작했다. 당협위원장 일괄사퇴를 했다는 것은 새롭게 당협위원장을 선출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승민계 인사들에게도 그 기회가 돌아오게 되는 셈이다. 따라서 친유승민계 입장에서는 자유한국당으로 돌아가고 싶은 것은 당연지사다. 이런 이유로 유 전 대표 탈당설이 계속 불거지고 있다. 물론 손학규 대표는 유 전 대표의 탈당설은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다. 하지만 친유승민계 탈당설은 계속 불거져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자유한국당 내부에서 보수대통합의 목소리가 나올수록 탈당설은 더욱 증폭될 것으로 보인다. 만약 친유승민계가 대거 탈당하게 된다면 손 대표로서도 살 방법을 궁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때문에 평화당 탈당 세력과의 통합을 통해 제3지대를 형성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위에서부터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회의 모습 ⓒ뉴시스
위에서부터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회의 모습 ⓒ뉴시스

제3지대 형성은

바른미래당 내부에서 친유승민계가 대거 탈당해 자유한국당으로 돌아간다면 바른미래당은 하루아침에 원내교섭단체 지위를 잃어버리게 된다. 원내교섭단체 지위를 다시 찾기 위해서는 결국 평화당과 손을 잡거나 평화당을 탈당한 세력과 손잡아야 한다. 이 모든 전제조건은 선거법 개정과 맞물린다. 지난 1일 민주당 이해찬 대표가 기자간담회에서 선거법 내용을 꺼내 든 것도 이 때문이다. 바른미래당 탈당 세력이 자유한국당으로 복당하고, 바른미래당 잔류세력과 평화당이 하나로 통합하게 된다면 정국은 더욱 복잡하게 얽힐 수밖에 없다. 이런 이유로 선거법 개정에 손을 내밀었다. 어차피 선거법 개정에는 여러 가지 복잡한 구조가 얽혀있기에 쉽게 처리가 되지 못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선거법 개정은 어디로

이처럼 이들이 선거법 개정에 목매는 이유는 이대로 총선을 치른다면 소수 야당은 사라질 것이라는 두려움 때문이다. 소선거구제하에서는 소수 야당이 아무리 발버둥을 친다고 해도 의미 있는 승리를 얻기란 쉽지 않다. 이런 이유로 선거법 개정을 통해 민의가 표심으로 반영되는 선거 구조를 만들겠다는 것이 이들의 목표다. 제3지대 창당설이 나오고 있는 것도 정기국회에서 선거법 개정을 완료하겠다는 의중이 담겨있는 셈이다. 다만 선거법 개정은 생각보다 쉽지 않다. 연동형 비례대표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지역구 국회의원 숫자를 대폭 줄이거나 국회의원 숫자를 늘려야 하는데 둘 다 만만찮은 작업이기 때문이다. 지역구 국회의원의 숫자를 대폭 줄이게 된다면 지역구 국회의원들은 결사 반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거꾸로 국회의원 숫자를 늘린다고 하면 민심이 이를 두고 보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런 이유로 연동형 비례대표 도입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이에 소수 야당 소속 의원들은 선거법 개정이 되지 않을 바에는 거대 양당 체제로 들어가겠다는 입장이다. 친유승민계가 자유한국당으로 돌아가겠다고 하는 것도, 평화당 초선 의원들이 민주당으로 들어가겠다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다만 민주당이 이들을 받아들일지는 미지수다. 그야말로 정국은 정계개편 소용돌이 속으로 휘말리고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