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상장사 중 한계기업 비율은 13.4%
한계기업 251곳 중 중소기업은 180곳

ⓒ조정식 의원실
ⓒ조정식 의원실

【투데이신문 홍세기 기자】 지난해 기준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중 영업이익으로 대출 이자도 갚지 못하는 한계기업이 무려 251곳이나 되는 것으로 확인돼 맞춤형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조정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일 키스밸류(kis-value)와 한국신용정보원으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기준 유가증권시장 한계기업의 수는 전년 동기 대비 6개사(2.46%) 증가한 251개사로 집계됐으며 점차 증가 추세라고 밝혔다. 다만 전체 상장사 중 한계기업의 비율은 13.4%로 지난해보다 0.2%포인트 감소했다.

한계기업은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금융비용)이 1배 미만인 기업으로 정의되며, 이는 한 해 영업이익으로 기업 대출이자도 충당하지 못한다는 의미한다.

상장기업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돼 주식이 거래되고 있는 기업을 의미하며, 외감기업에 비해 더 까다로운 요건을 갖추어야 지만 상장될 수 있기 때문에 상장된 한계기업이 자본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상장된 기업 중 한계기업의 경영상황에 대해 면밀히 분석하고 맞춤형 구조조정을 실시해 유가증권 투자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건전한 자본 시장 형성을 도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또 전체 한계기업 251곳 중 중소기업은 180곳(71.7%)으로, 중소기업인 한계기업의 수와 비중 모두 증가 추세에 있다.

연도별 한계기업의 수는 2013년 243개사에서 2014년 252개사로 늘었지만 이후 2015년 229개사로 소폭 감소했다. 하지만 2016년과 2017년 각각 244개사, 251개사를 기록하며 다시 상승 추세로 전환했다.

조정식 의원은 “모든 한계기업이 구조조정을 통해 퇴출되어야 할 기업은 아니기에, 규모별·업종별 한계기업을 선별해 차등화 된 맞춤형 구조조정 정책을 통해 선의의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면밀한 정책 설계를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규모별로는 한계기업 중 중소기업의 수와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경영개선 상황도 대기업에 비해 현저하게 떨어지는 만큼, 정책의 초점을 중소기업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