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태균 칼럼니스트현)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사무처장
▲ 김태균 칼럼니스트
현)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사무처장

【투데이신문 김태균 칼럼니스트】 또 시작이다. 일본의 정치인들과 내각의 각료들이 망언으로 한국을 자극했다. 일본 외무상은 새해 첫 국회연설에서 ‘독도는 일본 땅’이라고 주장했다. 2014년 이후 여섯 번째다. 이뿐인가. 위안부 배상, 한국 법원의 강제동원 배상 판결, 일본 초계기의 위협비행 등 일이 생길 때마다 험한 말을 쏟아낸다. 급기야 일본 여당 의원인 야마모토 국방부회장은 “한국은 일본의 불상을 훔쳐서 돌려주지 않았다. 거짓말쟁이는 ‘도둑의 시작’이 아니라 도둑이 단지 거짓말을 하고 있을 뿐”이라는 극언까지 서슴지 않았다.

이처럼 잊을 만 하면 망언이 되풀이 되는 원인은 무엇인가. 1965년 12월 28일에 있었던 ‘한일협정’이 문제의 시작이었다고 본다. 박정희 군사정권에 의해 체결된 이 협정은 이른바 ‘김종필 – 오히라 메모’라 불리는 밀약의 형태로 진행됐다. 일본은 한국에 무상공여 3억 달러, 유상 정부차관 2억 달러, 민간차관 1억 이상을 제공하기로 했다. 주지하듯 이 금액은 일본에게 피해를 입은 동남아국가에 비해 적었다. 이보다 더 큰 문제가 있었다. 일제에 의해 강제 동원된 피해자들에 대한 보상 문제는 논의조자 되지 않았으며, 한일강제병합은 무효이며, 일제의 36년 식민통치는 그들의 과오였음을 명시하지 않았다는 점 등이다. 일본에게 그들의 식민통치를 정당화 할 수 있는 명분을 제공해 버린 셈이 됐다. 최근까지 이어진 일본 정치인들의 망언의 뿌리가 여기에 있다.

당시에도 그들은 망언 잔치를 벌였다. 1963년, 대통령 취임 경축사절로 온 오노 일본 자민당 부총재는 “박정희 대통령과 나와는 부자지간이므로 한일관계가 잘될 것”이라고 했다.  1965년,“일본의 식민지 지배는 한국의 근대화에 기여했기 때문에 사죄할 필요가 없다. 한국을 20년 더 지배했어야 했다.”고 한 다카스기의 망언도 있었다. 같은 해 일본 외상 시이나는  한국 내에서 한일회담반대운동이 번지자 “한국 정부는 계엄령을 선포해서라도 한일회담을 종결할 확고한 결심을 하고 있는 것으로 믿는다.”고 망언을 했다.

다시 보고 싶지 않은 망언을 다시 거론해 본 이유가 있다. 앞으로 중요한 협상이 있기 때문이다. 향후 북미 회담이 성공적으로 이뤄진다면 북한과 일본도 수교할 것이다. 한일 관계가 재정립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처럼 역사는 진전하고 있는데 일본은 여전히 과거에 머물러있다. 진실을 왜곡하고 이웃을 비난하는 것으로 일본의 미래를 보장 받을 수 없다. 일본의 망언이 지속되고 있는데도 한국 내부에서 크게 동요하지 않은 것은 일본이 좋은 이웃 국가로서 함께 하는 것이 서로에게 유리함을 알기 때문이다. 일본이 그걸 깨닫지 못하고 과거를 왜곡하고 억지를 부린다면 국제사회에서 소외되고 소국으로 전락하게 될 것이다.

나는 요즘 민화협의 일원으로 ‘일제강제동원 희생자 발굴 및 유골봉환 사업’에 참여하여 일하고 있다. 이 사업을 주관하면서 들은 이야기가 있다. 일본 패망 70년이 되도록 유골 봉환이 되지 않은 이유가 있다는 것이다. 한국의 친일파와 친일 언론들이 일제의 나팔수가 되어 국민을 사지로 보냈던 추악한 과거가 들춰지는 것을 두려워한 나머지 보이지 않는 영향력을 행사했다고 한다. 망언의 역사가 만들어지는데 한국인도 일조를 한 셈이다. 그 망언의 역사를 끊어야 할 때가 됐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