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서 전자담배 배터리 폭발 피해 사례 발생
기표원, 폭발사고 조사 착수…품질 조사 병행
반복된 폭발사고, 배터리 안전성 시비 재점화
LG화학 “제품 공급한 바 없어, 책임은 판매처”

【투데이신문 최병춘 기자】 에너지저장장치(ESS), 전동카드 등 폭발사고로 안전성 논란이 거듭됐던 LG화학이 이번엔 전자담배 배터리가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해 또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등 위험성 문제가 불거지면서 정부도 관련 사고에 대한 조사에 나섰다. LG화학 측은 품질과 무관한 사고로 규정, 책임을 불법유통한 판매처에게 돌렸다.

최근 <시사저널> 보도에 따르면 지난 3월 10일 액상형 전자담배 배터리 폭발로 사용자가 얼굴뼈 골절상과 피부 화상 등 부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했다. 폭발한 배터리는 LG화학이 제조한 제품이었다.

보도에 따르면 A씨는 자택에서 충전한 배터리를 전자담배 기기에 장착하고 가열 버튼을 누른 순간 배터리가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A씨 얼굴 바로 앞에서 폭발이 일어나면서 큰 부상으로 이어졌다. A씨는 병원 진단 결과 눈과 턱, 코 부위에 골절상과 피부 화상 등을 입고 응급수술을 받았다.

전자담배 배터리 폭발…정부 조사 착수

정부는 이번 전자담배 배터리 사고와 관련해 조사에 나서기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국가기술표준원은 분야별 담당부서를 통해 LG화학 전자담배 배터리 폭발사고를 포함해 전자담배 안전성 문제에 대해 조사에 나설 계획이다.

국가기술표준원 제품안전정보과 관계자는 본지와의 전화통화에서 “현재 사고조사는 사고정보를 수집하고 있는 단계로 어느 정도 정보가 수집 되면 본격적으로 조사에 나설 수 있을 것”이라며 “최근 유사한 사고가 난 것이 있어 같이 살펴보고 있다”고 밝혔다.

국가기술표준원 제품시장관리과에서는 배터리를 중심으로 전자담배의 안전성 문제를 들여다 본다. 제품시장관리과 관계자는 “이번 조사 핵심은 전자담배 배터리”라며 “LG화학을 포함해 29개 제품을 대상으로 조사에 나서 안전기준 적합 여부에 대해 총체적으로 살펴볼 것”이라고 밝혔다.

LG화학 측은 이번 사고는 불법적으로 유통된 배터리 사용에 따른 오용 문제로 배터리 안전성과는 무관하다는 입장이다.

LG화학은 최근 국내 전자담배 폭발 사고와 관련한 입장문을 통해 “피해자가 전자담배는 외국에서 구매했고 단전지(배터리)는 국내에서 불법 유통되는 판매처에서 구매한 것”이라며 “LG화학은 폭발한 전자담배 브랜드 제품에 배터리를 공급한 바 없다”고 밝혔다.

이어 “단전지는 어느 제조사가 생산하였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그 구조상 외부 단락이 발생할 경우 발화‧발열‧화재의 위험이 있다”면서도 “당사는 법규에 따라 산업용 부품인 단전지를 개인 소비자에게 판매하지 않고 있다. 아울러 배터리 탈착이 가능한 전자담배용 회사에도 배터리를 납품하고 있지 않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와 함께 소비자 피해 보상 등 사고 책임에 대해서도 확실하게 선을 그었다. LG화학 관계자는 “본건 사고는 배터리 판매처에 법적 책임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당사는 단전지 판매처를 고발 조치하는 것을 현재 검토 중이고 만약 소비자가 판매처를 고발할 경우 이를 지원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끝나지 않은 배터리 안전성 시비

LG화학이 제조한 배터리가 전자담배에서 폭발한 사고는 국내에서는 첫 사례다. 하지만 해외에서는 전자담배에서 LG화학 배터리가 폭발하는 사고는 심심치 않게 확인된다.

올해 1월 LG화학의 원형 리튬이온 배터리가 장착된 전자담배가 노스캐롤라이나에 거주하는 한 시민의 주머니에서 폭발해 화상 사고로 이어진 바 있다. 또 작년 5월에도 미국 코르도바에 거주하는 25세 남성이 전자담배를 피우던 중 폭발해 입술과 왼짝 뺨에 화상을 입고 있는 사고가 발생해 LG화학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더 거슬러 올라가 지난 2016년 11월 맨하탄 그랜드센트럴 터미널 내 와인 소매점에서 근무하던 30대 남성은 바지 주머니에 들어있던 전자담배가 폭발해 허벅지와 손에 화상을 입었다며 LG화학에 손해배상을 청구한 바 있다.

LG화학에 따르면 현재 해외에서 제기된 배터리 폭발 관련 소송 대부분이 진행 중으로 사고 원인을 둘러싼 책임관계 또한 분명하게 밝혀지진 않은 상황이다. LG화학은 해외 사고 또한 국내 사고와 마찬가지로 불법 유통된 배터리 사용으로 인한 사고라고 설명했다.

배터리는 LG화학의 핵심사업 중 하나다. 하지만 폭발 사고가 이어지면서 안전성 문제가 반복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사고다. 사고 원인 중 하나로 배터리 품질문제가 끊임없이 의심받아 왔다. 현재 LG화학은 삼성SDI와 사실상 ESS 배터리 시장을 양분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사고원인이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으면서 사업 타격도 만만치 않다. ESS 사업을 적극 추진해온 LG화학은 1분기에만 1200억원에 달하는 손실을 입었다. 다만 정부가 오는 11일 예고된 사고원인 결과 발표를 통해 배터리 품질 우려를 씻을 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다.

LG화학은 전동카트 폭발사고와 관련해 안전성 시비에 휘말리기도 했다. 최근 연이어 발생한 골프장 전동카트 폭발사고의 원인으로 LG화학의 리튬베터리 셀이 지목되면서 사고 책임을 두고 분쟁이 일었다.

지난 2016년 충북 한 골프장 골프카트 보관창고에서 화재가 발생, 골프카트 72대를 비롯해 주변 건물 상당수가 전소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에 피해 골프장 측은 LG화학을 상대로 16억원 규모의 피해보상 소송을 제기된 바 있다. 지난해 6월 강원 평창군 한 골프장에서 충전 중이던 골프카트에 화재가 발생했다. 해당 카트에도 LG화학의 리튬배터리 셀이 장착, 화재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소송전으로 이어졌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