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11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민관합동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회가 원인조사 결과와 재발방지를 위한 종합안전강화대책 등을 발표했다.ⓒ뉴시스
지난 6월 11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민관합동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회가 원인조사 결과와 재발방지를 위한 종합안전강화대책 등을 발표했다.ⓒ뉴시스

【투데이신문 최병춘 기자】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사고가 또 다시 발생했다. 정부가 민관합동으로 화재 원인 조사결과를 발표했음에도 연이어 화재사고가 발생하면서 제품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다시 제기되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전날 오전 강원 평창군 미탄면 평안리에 위치한 풍력발전소 ESS 발전실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ESS는 생산된 전기를 배터리에 임시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불출하는 장치다.

이번 화재로 리튬이온배터리 2700개와 전력변환 장치 1개 등 발전실 414.3㎡가 모두 탔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하고 있다.

이번 ESS 화재는 지난 2017년 8월 이후 25번째다. 지난 6월 5개월에 걸친 정부 주도의 민관 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회’의 조사 결과 발표가 난 이후 두 번째다. 지난달 30일 충남 예산군 광시면 미곡리의 ESS에서도 화재가 발생했다.

앞서 조사위 발표 당시 제조사에 책임을 묻기 힘들다는 결론을 내린 바 있다. 지난달 30일 화재 ESS 배터리 제조사는 LG화학, 이번 사고 ESS 배터리는 삼성SDI 제품이었다. 앞서 발생한 23건의 ESS 화재에서 배터리 제조사는 LG화학 12건, 삼성SDI 7건이었다.

조사위의 조사 착수 시점에 LG화학 제품이 공급된 ESS화재가 주를 이뤘다. 조사위는 안전에 영향을 줄 만큼은 아니지만 2017년 LG화학 배터리 셀 초기 제품에서 제조결함이 발견됐다는 결론을 내리기도 했다.

다만 민관 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회는 지난 6월 배터리 자체의 결함보다는 보호·운영·관리상의 문제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결론 내렸다. 이에 중단됐던 설비가 재가동에 돌입하는 등 정상화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한편 총체적이고 복합적으로 원인을 제시하면서 원인 규명과 대책이 모호한 결론을 내려 시장의 불확실성을 지적도 제기되기도 했다.

이번 화재 사고와 관련해 삼성SDI 관계자도 본지와의 전화통화에서 “정확한 사고조사를 해서 원인이 나와 봐야겠지만 화재가 배터리만의 문제라고 확답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하지만 화재사고가 재발하면서 ESS 핵심 부품인 배터리 안전성에 다시 시선이 몰리고 있다.

실제로 삼성SDI은 ESS 화재 사고 이후 주가 약세를 보이고 있다. 삼성SDI 주식은 이날 오전 오후 2시 58분 기준으로 주당 22만2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전일 종가 23만8500원에서 장 개장이후 줄 곳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ESS화재 원인과 대책에 대해서는 다음 달 열리는 국회 국정감사에서도 주요하게 다뤄질 예정이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이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16일 ESS의 배터리 제조사인 LG화학과 삼성SDI 경영진을 국감 증인으로 신청했다. 국감을 통해 화재 사고에 대한 제품 결함과 기업의 책임 소지에 대한 질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