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뉴시스

【투데이신문 최병춘 기자】 투자자 원금이 보장되지 않는 파생결합펀드(DLF)와 같은 파생상품들이 올해 은행권에서 100만 건 이상 판매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최근 5년간 손실이 확정된 상품 규모가 600억원에 달하는 등 피해도 컸다.

26일 제윤경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 받은 최근 5년간 16개 시중은행의 증권형 파생상품 판매 현황 자료에 따르면 주가연계특정금전신탁(ELT)·파생결합증권신탁(DLT)·주가연계펀드(ELF)·파생결합증권펀드(DLF)의 판매 잔액은 2015년 30조원대에서 올해(8월 7일 기준) 49조8000억원대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가입 건수 또한 66만8000여건에서 100만 건으로 급증했다. ELT는 주가연계증권(ELS)를, DLT는 파생결합증권(DLS)을 편입한 신탁상품이다. ELF와 DLF는 ELS·DLS를 편입한 펀드를 말한다. 상품마다 구조가 다르지만 기초자산의 가격 변동에 수익·손실 정도가 정해지는 구조로, 모두 원금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실제 최근 5년간 시중은행이 판매한 ELT·DLT·ELF·DLF 중 손실이 확정된 상품의 규모는 604억원(976건)으로 나타났다.

은행 중에선 농협은행이 판매한 DLF(172억원)가 손실확정 규모가 가장 컸다. 이어 기업은행의 ELT·DLT·ELF(155억원), 씨티은행 ELT·DLT(147억원) 등 순이었다.

복잡한 상품구조에도 장년층에 집중적으로 판매된 정황도 드러났다. 올해 판매된 상품 3건 중 1건은 60대 이상(33만8560건)이었다. 이는 전체 잔액의 40%(19조5299억원) 가까이가 집중된 것이다. 80대 이상의 가입 실적도 1만4120건(1조4895억원)이나 됐다. 일반은행 창구를 통한 판매건수가 73만8614건으로 프라이빗뱅커(PB)를 통한 판매건수(22만9068건)보다 3배 이상 많았다. 은행을 들른 장년층이 창구직원의 권유로 가입한 사례가 적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제윤경 의원은 “파생상품 판매 실적이 늘어나고 있는 건 은행들이 비이자 수익 확대에 열을 올리고 있기 때문”이라며 “은행이 이들 상품을 팔면 통상 판매 금액의 1% 안팎으로 수수료를 받고 있는데, 예대마진 수익에 의존해 왔던 은행 입장에선 새로운 수입원이 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원금 손실이 나타나고 있는 DLF 사태는 금융당국이 2015년 사모펀드 판매 규제를 완화한 결과”라며 “공모펀드의 규제를 우회해 판매되고 있는 파생상품들에 대한 총체적인 검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