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청년층 니트의 경제적 비용’ 연구 결과 발표

니트(15~29세)의 연간 경제적 비용 추정ⓒ한국경제연구원
니트(15~29세)의 연간 경제적 비용 추정ⓒ한국경제연구원

【투데이신문 최병춘 기자】 일하지 않고 일할 의지도 없는 청년 무직자를 뜻하는 니트(NEET)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연간 61조원을 넘어선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청년층 니트의 경제적 비용’ 연구 결과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노동패널 1~22차년도 조사자료의 2010~19년 자료를 사용해 청년층(15~29세) 니트의 비중을 추정한 결과 니트의 비중은 2019년에 22.3%를 기록했다.

니트의 비중은 2015년부터 증가세를 나타내다가 2018년에 소폭 감소한 이후 2019년에는 22.3%로 크게 상승했다. 반면 OECD 평균값은 2014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해 2019년에는 12.9%를 기록, 우리나라가 약 9.4%포인트 높았다. 최근 니트 비중은 여성보다도 남성에서 더 크고, 남성에서 증가폭도 더 컸다. 남성 니트 비중은 2010년 17.1%에서 2019년 25.9%로 증가했다.

또 니트에 따른 손실을 계량화하기 위해 성향점수매칭법(PSM)을 사용, 니트의 연간 경제적 비용을 추정한 결과 시장소득 기준으로 사업주의 사회보장부담금을 포함해 추정한 니트의 연간 경제적 비용은 2010년도 33조원을 기록했다. 2019년에는 61억7000억원을 기록 10년 사이 니트의 경제적 비용은 두 배 가량 급증했다. GDP 대비 니트의 경제적 비용 비중도 2010년 2.5%에서 2019년에는 3.2%까지 상승했다.

보고서는 인구구조 변화에 따라 향후 생산가능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며 노동력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청년층 니트의 노동시장 진입 유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경연 유진성 연구위원은 “소득 하위계층, 직업훈련 경험이 없는 청년층, 취업경험이 없는 청년층에서 니트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며 “일자리 창출을 위한 청년 대상 정책에 있어서는 현금 위주의 지원정책보다는 소득 하위계층을 중심으로 취업경험이나 직업훈련, 인턴 등의 서비스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사회와 가정으로부터의 고립, 사회에 대한 두려움, 취업의욕 상실 등에 기인하는 니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소년층을 위한 취업지원 및 심리상담 전용 공간을 조성하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