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데이신문 박효령 기자. 
▲ 투데이신문 박효령 기자. 

【투데이신문 박효령 기자】 일명 ‘시민의 발’이라고 불리는 지하철은 중요한 교통수단 중 하나다. 서울에서는 1~9호선, 우이신설선을 비롯해 여러 수도권 지역을 잇는 전철이 대거 운행 중이다.

이 큰 ‘교통 허브’ 중 대다수인 1~8호선을 관할하는 기업은 서울교통공사로, 서울 시민의 교통을 책임지고 있는 ‘공기업’이다. 서울교통공사 김상범 사장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매일 700만명이 넘는 시민들이 서울교통공사의 수준 높은 교통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며 “서울교통공사는 사람, 시스템과 인프라는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시민 누구나 행복한 일상을 누릴 수 있도록 항상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근래 공사 측의 대처를 보면 과연 제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 의구심이 든다. 공사 측의 뒷북 대처와 시대에 뒤떨어진 인권감수성이 차별과 혐오만 낳고 있기 때문이다.

공사는 전국장애인철폐연대(이하 전장연)는 매일 오전마다 지하철역에서 공사를 향해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촉구하는 운동을 펼친 지 5개월 만에 ‘1역사 1동선’을 확보하겠다고 발표했다.

그 전후 과정을 살펴보면, 시민을 위한 공기관이 맞는지 싶을 정도다. 지난 3월 공사의 언론팀 직원이 제작한 ‘사회적 약자와의 여론전 맞서기-전장연 지하철 시위를 사례로’라는 제목의 PPT 문건에는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을 조성하기 위한 대응 방안 등이 담겨 큰 파문을 일으켰다. 당시 공사는 해당 문건에 대해 “직원 개인의 일탈”이라고 해명했지만, 장애인 차별을 선동한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었다.

‘꼬리 짜르기’식 해명이라는 비난과 장애인 차별 논란에도 공사 측은 전장연에 공식 사과하지 않았다. 그 이후 전장연이 정치계에서 큰 화두가 되고,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이하 인수위)와 협상까지 거치자 뒤늦게 ‘1역사 1동선’을 확보하겠다고 약속한 것이다.

그동안 공사는 시민들의 불편 해소를 위해 시위를 멈춰달라고 요구했다. 하지만 정작 장애인의 불편은 보지 못했다. 장애인을 ‘시민’이라는 단어에서 은연중에 분리했다.

이뿐만이 아니다. 공사는 지난 2020년 성소수자 광고와 지난해 고 변희수 하사의 복직을 지지하는 광고를 게시하는 것을 불허하기도 했다. 올해에도 공사는 세월호 8주기 추모광고가 정치적 중립을 방해한다는 이유로 게재를 막았다.

이에 국가인권위원회가 광고 재게 재검토를 권고했지만, 공사는 기존 광고 체크리스트 평가표를 검토하겠다는 입장만 드러냈을 뿐 사실상 불수용했다. 결국 세월호 추모광고를 제외한 두 광고는 여러 갈등 끝에 게시되긴 했지만, 관련 단체들은 “편견에 갇혀있는 행보”라고 비난하고 나섰다. 그렇게 공사는 그들에게 상처만 남겼다.

‘누구나 안전하고 행복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서울교통공사’라는 홍보문구가 허투로 보이는 건 바로 이 같은 공사의 시대착오적인 행태 때문이다. 차별과 혐오가 촉발한 사회 갈등은 사회 근간과 안전, 안녕을 위협하고 행복을 짓밟는다는 사실을 이제라도 깨달아야 하지 않을까.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