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역광장에 노숙인들을 위한 텐트가 설치돼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서울역광장에 노숙인들을 위한 텐트가 설치돼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투데이신문 박세진 기자】지난해 전국 노숙인 수가 5년 전보다 21%가량 줄어든 8956명으로 집계됐다. 아울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인해 미취업자가 증가하자 노숙인들은 소득보조 및 주거 지원을 가장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정부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1년도 노숙인 등의 실태조사’ 결과를 전날 발표했다. 해당 조사는 ‘노숙인 등의 복지 및 자립지원에 관한 법률’에 의거한 것으로 지난 2016년 이후 두 번째 진행됐다.

실태조사를 통해 전국의 노숙인 수는 8956명으로 파악됐다. 지난 2016년(1만1340명)보다 2384명(21.0%) 감소한 수치다. 쪽방 거주민까지 포함하면 1만4404명으로, 2016년보다 3128명(17.8%) 줄었다.

노숙인 생활 시설 입소자 수는 7361명(82.2%)으로 조사됐다. 거리 노숙인과 시설 이용자는 1595명(17.8%)이다.

전체 노숙인 중 남성은 6439명(71.9%), 여성은 2493명(27.8%)으로 집계됐으며, 거리 노숙인 중 여성의 비율은 기존 6.4%에서 현재 9.2%로 2.8% 포인트 증가했다. 지역별로 보면 전체 노숙인 4331명의 절반(48.4%) 가량이 수도권에서 생활하고 있다. 그중 거리 노숙인 74.6%가 수도권에 있다. 다음으로 경기도가 216명(13.5%), 대구와 부산도 각각 131명(8.2)% 씩 차지했다.

거리 노숙인이 거리나 광장에서 생활한 기간은 평균 122.8개월로 조사됐다. 시설 노숙인의 경우 약 276개월, 자활시설에서는 약 80개월간 머물렀다.

거리 노숙인이 노숙을 하게 된 결정적인 이유는 실직(42.4%)이었다. 다음으로 사업실패(17.5%)와 이혼 및 가족 해체(8.9%) 등 순이다. 코로나19 사태의 영향으로 미취업 노숙인 비중은 더 늘었다. 노숙인의 미취업률은 74.1%로, 지난 2016년(61%) 대비 13.1% 늘었다. 현재 근로활동을 이어 오고 있는 노숙인 19.6%는 자활·공공·노인일자리 등 공공부문 일자리에 종사하고 있다.

가장 필요한 지원으로는 소득보조(49.2%)를 꼽았다. 다음으로 주거(17.9%), 의료지원(12.4%), 고용지원(6.8%) 등이 뒤를 이었다. 거리 노숙인들은 가장 큰 도움을 받았던 지원책으로 무료급식(62%)과 긴급복지 생계급여(10.3%)를 꼽았다. 노숙인 이용시설 이용자는 자활사업 및 공공일자리(26.2%)와 무료급식(21.9%)이 도움이 됐다고 답했다.

전체 노숙인의 4명 중 1명(25.6%)은 부채가 존재했다. 지난 2016년(35.5%)과 비교하면 9.9% 포인트 줄었다. 3명 중 2명(66.8%)은 금융채무불이행자다. 1인당 평균 부채 규모는 3644만4000만원에 달한다. 노숙생활 중 피해 경험으로는 구타·가혹행위(3.3%), 명의도용·사기(2.5%), 금품갈취(2.5%), 성폭력(0.6%) 등의 순으로 드러났다.

복지부 관계자는 “사회 복지 정책이 체계화되고 노숙인 복지에 대한 노력이 확대되면서 전체 노숙인 수가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며 “노숙인의 특성에 맞는 복지 서비스를 지원하고, 현장 보호 활동 강화 및 노숙 초기 단계 조기 개입을 통해 노숙 기간 장기화를 사전에 예방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