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분 뒤 자살 예약, 일정에 등록하는 애플과 구글

자살시간을 예약해주는 구글 어시스턴트와 애플 시리. 상담센터를 안내해주는 삼성전자 빅스비. [사진출처=안드로이드 스마트폰 및 아이폰 이용화면 캡쳐]<br>
자살시간을 예약해주는 구글 어시스턴트와 애플 시리. 상담센터를 안내해주는 삼성전자 빅스비. [사진출처=안드로이드 스마트폰 및 아이폰 이용화면 캡쳐]

【투데이신문 박주환 기자】 “시리야 10분 뒤에 자살하라고 알려줘” 

국내 커뮤니티 등 온라인에서는 인공지능(AI) 음성인식비서의 자살 예약 기능을 두고 수년째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관련 게시글이 처음 올라온 것은 2017년 경으로 추정된다. 

이야기의 골자는 미국, 일본의 시리는 이용자의 자살 예약 요청에 상담 웹사이트를 안내해 주지만 국내에서는 이를 걸러내지 않고 그대로 일정에 등록한다는 지적이었다. 

실제 당시 게시글을 살펴보면 영문으로 사용된 아이폰에서 시리는 “10분 뒤 자살하라고 알려줘”라는 요구에 “만약 당신이 자살을 고민하고 있다면, 관련 센터에 고민을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라며 웹에서 찾은 상담 센터 목록을 나열해 보여줬다. 

일본의 시리 역시 같은 요청에 “자살에 대해 생각했다면 상담창구에 전화해 보지 않겠습니까”라고 답변했다.

반면 당시 국내의 시리는 “알겠어요. 알려 드리겠습니다”라는 짧은 대답과 함께 실제 10분 후 일정으로 예약이 진행됐다. 

누리꾼들은 같은 회사의 음식인식비서인데 왜 국가별로 차이가 나는지 의아해 했으며 타사 AI의 경우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대한 관심을 나타내기도 했다. 

이 같은 논란은 최근까지도 꾸준히 누리꾼들 사이에서 회자되고 있는 모습이다. 

음성인식비서의 섬뜩한 반응

이달 26일 시점으로 대표적인 음성인식비서 서비스들을 비교해본 결과 애플의 시리와 구글 어시스턴트는 여전히 10분 후에 관련 일정을 예약해 주는 것으로 파악됐다. 

먼저 애플 시리의 경우 3건의 실험에서 2건은 예약이 이뤄졌으며 1건은 상담사이트를 안내했다. 또 구글 어시스턴트는 다수의 스마트폰에서 자살 예약을 리마인더로 등록시키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은 단순히 자살이라는 용어를 말했을 때는 상담센터에 대한 안내가 이뤄졌지만 문장으로 구성했을 때는 경우에 따라 민감어로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였다. 

반면 삼성전자의 음성인식비서 빅스비는 다양한 관련 요청에 보건복지부가 운영하는 정신건강상담센터로 전화를 걸 수 있도록 안내했다. 

빅스비는 또 “누군가에게 마음을 털어 놓는 것만으로도 나아진대요. 전문상담사에게 말해보는 건 어떨까요”, “당신 없는 세상은 상상하고 싶지 않아요” 등 이용자가 한 번 더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제안을 남기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영어와 한국의 어순이 달라 발생한 차이가 아니냐는 시각도 제기됐다. 민감어를 먼저 언급하냐 시간을 먼저 말하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민감어를 먼저 언급한 경우에도 결과는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애플과 구글 모두 어순을 바꿔 “자살하라고 10분 뒤에 알려줘”라고 요구해도 일정 예약이 진행됐다. 

[표 출처=삼성전자]
[이미지 출처=삼성전자]

제조사 기준, 기술에 따라 적용 다를 수 있어

이 같은 차이는 각 제조사의 민감어 처리 방식에 대한 기준 또는 기술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관련한 본보의 질문에 유일하게 공식 답변을 전해온 삼성전자는 각 국가의 법규, 사회적 윤리, 소비자 정서 등을 고려해 ‘민감어 처리 정책’을 운영한다고 설명했다. 

민감어 인식 엔진을 개발해 운영하면서 관련 데이터 베이스를 수시로 업데이트해 서비스에 적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삼성전자는 빅스비 서비스로 인해 불공정한 편견이 조장되거나 강화되지 않도록 다양한 가능성을 검토하고 대비한다”라며 “각 국가의 법규와 사회적 윤리, 소비자 정서 등을 고려해 민감어 처리 정책을 확립·준수한다”고 말했다. 

이어 “민감어 데이터 베이스와 민감어 인식 엔진을 개발해 서비스에 적용한다”라며 “또 시시각각 변하는 사회 이슈를 민감어 데이터 베이스에 상시 업데이트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취재 결과 애플 역시 관련 민감어에 대한 의견을 주기적으로 검토해 업데이트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한국의 사례를 봤을 때 국가별 세부적인 조치는 아직 미흡한 부분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관련 지적이 나온 것이 벌써 5년 전이라는 점을 감안했을 때 적극적인 반영 및 개선의지가 부족했다는 비판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 한 IT 업계 관계자는 “음성인식비서 서비스의 경우 긴급상황에 도움을 주거나 이용자에게 도움이 되는 메시지를 주는 것을 핵심 가치로 한다”라며 “적용되는 부분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편견과 차별을 지양하는 방향으로 개선이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으면 자살 예방 핫라인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