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삼중수소·플루토늄 검사 장비 3대 도입…“방사능 검사 역량 확충”
【투데이신문 박세진 기자】해양수산부가 연내 수산물 삼중수소와 플루토늄 검사 장비 3대를 도입한다.
해수부 박성훈 차관은 13일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관련 브리핑에서 “해수부는 삼중수소 검사장비 4대와 플루토늄 검사장비 2대를 보유해 우리 바다에 대한 방사능 검사를 진행해오고 있다”고 말했다.
해수부에 따르면 현재 정부는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수품원)에 삼중수소 장비 1대, 국립수산과학원(수과원)에 삼중수소 장비 1대, 플루토늄 장비 1대를 도입할 방침이다.
수품원의 경우 지난 7월 24일 조달청 나라장터에 입찰공고를 게시해 8월 28일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해당 장비는 오는 11월 25일 이내 도입 될 전망이다.
이어 수과원의 경우 개찰 후 현재 적격심사 단계에 있다. 이후 기한, 장비규격, 금액 등을 고려해 납품이 가능한 업체가 계약될 예정이다. 해당 장비들은 납품 기한이 올해 12월 15일로 설정돼 있어 연내 도입 된다.
박 차관은 “정부는 앞으로도 국민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국민이 안심하고 우리 수산물을 드실 수 있도록 방사능 검사 역량을 확충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박 차관은 일본산 수산물 수입 시 방사능 전수조사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언급했다.
전날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의 해수부 관련 국정감사에서 일본산 수산물 방사능을 전수조사 해야 한다는 지적에 대한 입장을 표한 것이다.
박 차관은 “식품에 대해 매 건 수입시마다 방사능 검사를 실시하고 있으나 동일품종, 동일시기, 동일 업자에 대해 수입된 상품인 탓에 충분한 대표성을 확보하고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매 상품을 수입할 때 마다 전수조사를 하기엔 조금 불가능한 점이 있다”며 “정부는 국민이 수입과 통관 등 단계에서 불안함이 없도록 모든 역량을 동원해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