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브란스병원, 국내 처음으로 ‘전기자극’ 간암 시술 성공

2024-02-08     강현민 기자
[사진제공=세브란스병원]

【투데이신문 강현민 기자】 세브란스병원이 고압의 전기를 쏘아 암세포를 사멸하는 치료 기법인 ‘비가역적 전기 천공법’을 국내 최초로 간암 2기 환자 치료에 활용했다고 8일 밝혔다. 이 환자는 현재 퇴원 후 일상생활을 이어가고 있다고 한다. 

비가역적 전기 천공법(IRE, irReversible Electroporation)은 암 주변 피부에 2mm 정도 틈을 만들어 침을 꽂은 후 고압 전기를 쏴 암세포를 사멸하는 치료법이다. 가정용 콘센트 전압(220볼트)의 10배 이상인 최대 3000볼트 전기를 사용한다.

이 치료법은 고압의 전기로 암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암이 발생한 부위에 고강도의 전기를 쏘면, 세포막에 사람의 눈으로 확인하기 어려울 만큼의 미세한 크기의 구멍이 여러 개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세포 안팎의 균형이 무너지며 암세포가 사멸하는 것이다. 치료 후에는 암세포가 죽는 것은 물론 체내 면역 세포 활동도 촉진된다. 

이번에 비가역적 전기 천공법을 받은 간암 2기 환자 A(76)씨의 경우 장과 간 사이의 혈관인 간문맥 등 주변 장기와 암 조직이 닿아 있었다. 이 때문에 영상의학과 김만득 교수와 소화기내과 김도영 교수는 고주파나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기존의 간암 국소 치료법으로는 치료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했다. 기존 치료법이 높은 열을 일으켜 주변 장기에 피해를 줄 수 있었기 때문이다.

김만득 교수와 김도영 교수는 A씨 치료에 비가역적 전기 청공법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시술 과정에서 열에너지를 만들어내지 않고 암세포 자체만 타격해 암 주변 혈관과 조직이 안전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 기법은 이전까지 췌장암, 전립선암 등에 사용됐지만, 간암 환자에게 사용한 것은 이번이 첫 사례다.

시술을 무사히 받은 A씨는 현재 일상생활을 영위하며 정기적으로 내원해 소화기내과 김도영 교수에게 추적 관찰을 받을 예정이다.

김만득 교수는 “비가역적 전기 천공법은 미국에서 개발돼 현재는 유럽 등 선진국에서 암 환자 치료에 사용하는 비교적 신 치료기술”이라며 “세브란스병원에서는 2016년 도입한 이래 현재까지 수술이 불가능한 췌장암 환자 40여 명이 치료를 받았고 이번에 간암 환자에 국내 최초로 시행한 만큼 앞으로도 대상 암종을 늘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도영 교수는 “암 병변이 간문맥과 닿아 있어 기존의 열을 이용한 치료법이 아닌 치료 부위만 타깃할 수 있는 비가역적 전기 천공법을 시행했다”며 “무사히 퇴원한 환자는 앞으로 외래 진료를 통해 정기적인 추적 관찰을 진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