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건설 기업개선계획 가결…워크아웃 본격 추진
우리은행 조정신청, 다음달 채권자조정위서 결론 PF사업장 17곳 시공사 교체‧10곳은 경공매 처리
【투데이신문 홍기원 기자】 태영건설이 본격적인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작업)을 추진하게 됐다. 이에 앞으로 진행될 부실 PF 사업장 정리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태영건설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30일 제3차 금융채권자협의회에서 태영건설의 기업개선계획이 75% 이상 동의를 얻어 가결 요건을 충족했다고 밝혔다. 지난 19일 부의된 기업개선계획이 가결되면서 태영건설과 채권단은 기업개선계획 및 PF사업장 처리 이행에 나서게 됐다.
산업은행은 태영건설 기업개선계획 가결에 대해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신청 이후 4개월 만에 실효성 있고 실행 가능한 기업개선계획이 마련됐다”라며 “모든 이해관계자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PF 금융시장을 안정화할 수 있는 초석이 마련됐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모든 제반 이해관계자들의 전폭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이번에 통과된 기업개선계획 내용을 보면 태영건설 대주주인 TY홀딩스는 경영책임 이행 차원에서 100대1 감자를 실시하고 워크아웃 전 대여금 4000억원을 100% 출자전환해야 한다. 워크아웃 이후 대여금 3349억원은 100% 영구채로 전환한다.
금융채권자는 무담보채권의 50%를 출자전환하고 잔여 50%는 3년간 상환유예 및 금리인하를 지원한다. 또한, 태영건설에 3000억원 규모의 신규자금 및 5000억원 한도의 신규보증을 지원한다.
다만 채권단 중 우리은행이 TY홀딩스의 연대 체무 유예에 대해 조정 신청을 제기해 변수가 남아있는 상황이다. 다음달 무렵 금융채권자조정위원회에서 우리은행의 조정신청에 대한 결론이 나올 예정이지만 기업개선계획이 채권단 75% 이상의 찬성을 얻었기에 해당 안건의 통과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기업개선계획에는 태영건설 PF사업장에 대한 처리방안도 포함돼 있다. 태영건설의 본 PF사업장 40곳 중 32곳은 사업을 지속하며 7곳은 시공사를 교체한다. 남은 1곳은 경공매 처리할 예정이다. 브릿지론 단계의 PF사업장 20곳 중 10곳은 시공사를 교체하고 9곳은 경공매 절차를 밟는다. 남은 1곳은 사업을 유지하기로 했다.
산업은행은 자본확충 방안이 신속하게 실행된다면 오는 2025년 이후에는 태영건설이 재무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정상적으로 공사를 진행하는 PF사업장이 계획대로 준공돼 공사대금을 회수한다면 2025년 말에는 안정적인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향후 태영건설은 한 달 이내에 채권단과 기업개선계획 이행을 위한 특별약정을 체결하게 된다. 그 뒤로도 PF사업장 처리와 계열사 매각 등을 통한 유동성 확보가 관건으로 남아있다.
앞서 태영건설은 기업개선계획 투표를 앞두고 윤세영 창업회장과 윤석민 회장을 포함해 임원 22명을 감원하는 내용의 자구책을 내놓은 바 있다. 임원 임금은 10~35%까지 삭감하고 직원 급여는 2026년까지 동결한다. 태영건설은 해당 자구책으로 판관비와 인건비를 줄이겠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