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 ‘수족구병’ 10년새 최대 유행...“철저한 위생 관리 필요”
【투데이신문 권신영 기자】 손, 발의 수포성 발진과 입안의 물집, 고열 등을 동반하는 수족구병이 영유아 사이에서 번지고 있어 보건당국이 손 씻기 등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질병관리청(이하 질병청)이 29일 발표한 수족구병 표본 감시 결과에 따르면, 이달 영유아(0~6세)에서 외래환자 1000명당 수족구병 환자 분율은 78.5명으로 조사됐다. 과거 최고 수준을 기록했던 2019년(77.6명)을 웃돌면서 최근 10년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수족구병 발생 연령은 18세 이하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특히 면역력이 약하고 개인위생이 취약한 영유아를 중심으로 유행하는 특징을 보인다. 국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팬데믹 시기인 최근 3~4년 동안 수족구병의 유행이 크지 않아 지역사회 내 집단면역력이 낮아진 것이 유행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족구병에 걸리면 발병 후 2~3일 동안 발열, 식욕부진, 무력감 등의 증상을 보이다가 7~10일 내 저절로 회복된다. 다만 간혹 중증 합병증을 유발하는 경우도 있어 38도 이상의 고열, 구토, 경련 등의 증상을 보이면 신속하게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한다.
수족구병의 주요 감염경로는 손으로 분변을 만지거나 환자의 침과 콧물 등을 통한 비말 감염, 피부의 물집에 직접 닿는 등의 감염으로 다양하다. 환자가 만져 오염된 물건에 접촉한 손과 입을 통한 감염도 가능하다.
질병청은 “수족구병의 주요 원인 병원체는 세부 종류가 다양하며, 여러 종류의 바이러스가 원인이 될 수 있다”면서 “이전에 수족구병에 걸렸더라도 원인 병원체가 다르면 다시 걸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수족구병을 예방하기 위해 영아 환자가 있는 가정에서는 기저귀 등 뒤처리 후 반드시 손을 씻고 배설물이 묻은 의류를 깨끗하게 세탁하는 등 철저한 위생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어린이집, 유치원 등에서는 장난감, 놀이기구, 문 손잡이 등 주변 환경의 소독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하고, 수족구에 걸린 영유아는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 어린이집 등의 등원을 자제해야 한다.
질병청 관계자는 “수족구병은 예방백신이 없어 손씻기 등 개인위생과 환자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며 “환자를 돌본 후 반드시 손을 씻고 생활용품을 따로 사용하는 등 가족 구성원 간 감염이 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