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가계대출 41조6000억원 증가...전년말 대비 2.6%↑
【투데이신문 문영서 기자】 지난해 금융권 가계대출이 전년말 대비 2.6% 증가해 41조원 가량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관리 강화와 금융권의 자율적인 관리 노력 등으로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15일 금융위원회(이하 금융위)와 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이 발표한 ‘2024년 중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총 41조6000억원 늘어났다.
금융권 가계대출은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인 2020년과 2021년 각각 112조3000억원, 107조 5000억원으로 증가폭이 크게 확대됐지만 2022년과 2023년에는 8조8000억원과 10조1000억원으로 축소된 바 있다.
가계대출 종류별로는 주택담보대출(이하 주담대)이 57조1000억원 증가해 전년(45조1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커졌으며 기타대출은 15조5000억원 감소해 전년(35조원) 대비 감소폭이 줄어들었다.
업권별로는 은행권 가계대출이 46조2000억원 증가하며 전년(37조1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늘어났으며 제2금융권(4조6000억원)은 전년(27조원) 대비 감소폭이 축소됐다.
은행권 주담대는 52조1000억원 증가하며 전년(51조6000억원)과 유사한 수준이다. 은행 자체 주담대는 31조6000억원, 디딤돌·버팀목대출이 39조4000억원 늘고 정책모기지는 18조9000억원 줄었다.
기타대출은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전년 대비 감소폭(14.5조원→5.9조원)은 크게 축소됐다.
지난해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여신전문금융회사(3조2000억원), 저축은행(1조5000억원), 보험(5000억원) 증가한 반면 상호금융(-9조8000억원)은 감소했다.
12월 금융권 가계대출은 총 2조원 증가해 전월(5조원) 대비 증가폭이 축소됐다.
대출종류별로 살펴보면 전달 주담대는 3조4000억원 증가해 전월(4조원) 대비 증가폭이 줄었고 기타대출은 1조4000억원 감소해 전월(1조원) 대비 감소세로 전환했다.
업권별로는 은행권 가계대출이 4000억원 줄며 전월(1조9000억원) 대비 감소했고 2금융권 가계대출은 지난달 2조3000억원 늘며 증가폭이 전월(3조2000억원) 대비 축소됐다.
은행권 주담대는 8000억원 증가하며 전월(1조5000억원) 대비 증가세가 둔화됐다. 이는 겨울 이사수요 감소 등 계절적 요인과 추가 금리인하 기대에 따른 대출실행 이연 등으로 은행 자체 주담대 감소폭이 11월 -8000억원에서 12월 -1조7000억원으로 확대된 것에 주로 기인한다. 신용대출 등 은행권 기타대출은 1조1000억원 줄며 전월(4000억원) 대비 감소세로 전환했다.
2금융권의 경우 지난달 주담대가 2조6000억원 늘며 전월과 유사한 증가폭이다. 기타대출은 연말 상여금과 분기말 상각 영향으로 3000억원 줄며 전월(6000억원) 대비 감소세로 전환했다. 상호금융(2조2000억원), 보험(3000억원), 저축은행(1000억원)은 증가했고 여신전문금융회사(-3000억원)는 감소했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가계대출이 금리인하 기대감에 따른 대출금리 하락, 수도권 중심의 주택 거래 증가 등의 영향에 따라 확대된 것으로 분석했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금리인하 기대감에 따른 대출금리 하락과 수도권 중심의 주택거래 증가 등으로 4월 이후 가계부채 증가세가 확대된 것으로 분석했다.
다만 금융당국 관계자는 “2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상환비율) 규제 시행과 금융권의 자율적인 관리노력 등으로 9월 이후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전반적으로 가계부채가 경상성장률 내에서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올해에도 금융권이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자율적인 가계대출 관리기조를 유지하도록 유도하고, 상환능력 심사 중심의 여신관리체계를 지속적으로 확립해나감으로써 연간 가계부채 증가율을 경상성장률 이내로 일관되게 관리할 계획”이라 전했다.
한편 금융당국에 따르면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21년 98.7%, 2022년 97.3%, 2023년 93.6%를 기록했고 지난해 3분기 기준 90.8%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