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표 경제 로드맵] 비상경제 TF 가동…“추경으로 민생·내수 회복 속도전”

“바로 시행할 수 있는 경제회생 정책 필요, 그 핵심은 추경 편성”

2025-06-05     문영서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5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투데이신문 문영서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직후 첫 행정명령으로 ‘비상경제점검 태스크포스(TF)’를 신설하고 직접 첫 회의를 주재했다. 이번 TF는 침체된 내수와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신속한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을 핵심 의제로 삼아, 새 정부의 경제정책이 ‘속전속결’로 전개될 것임을 예고했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전날 제21대 대통령 임기를 시작한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직후 최소 35조원 규모 추경 편성을 위한 작업에 돌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침체된 내수 경기를 살리고, 트럼프발(發) 관세 위협 등 글로벌 통상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긴급 재정처방’ 차원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전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2시간 20분간 비상경제점검 TF 회의를 주재했다. 회의에는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중소벤처기업부, 금융위원회 등 핵심 경제부처 차관과 정책 실무자들이 참석했다. 

이 대통령은 취임 당일 경제 유관 부처 인선 계획과 관련해 “오늘(4일) 저녁이라도 관련된 모든 부처 책임자뿐 아니라 실무자까지 모아서 당장 할 수 있는 경제회생 정책이 무엇인지 규모와 방식, 절차 등을 최대한 점검해보겠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 당장 바로 시행할 수 있는 경제회생 정책이 필요하고 그 핵심은 추경 편성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하며 조기 추경 편성 의지를 드러냈다. 

이번 추경은 경기 부양 목적의 재정지출 확대가 중심이다. 이와 동시에 올해 본예산 집행 속도를 높여 민간 소비와 기업 투자 심리를 끌어올린다는 구상이다. 

고물가·고금리 환경 속에서 위축된 수요를 정부 재정으로 견인하겠다는 전략이다.

모건스탠리는 이날 이재명 정부가 3·4분기 최소 35조원 규모의 2차 추경을 단행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대통령은 선거 과정에서 “내수 회복을 위해 최소 35조원 이상의 추경을 추진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으며, 실제 논의되는 추경 규모는 20조~35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이달 중 추경 편성 절차를 마무리하고, 다음 달 초 국회 본회의 통과를 목표로 ‘속도전’에 나설 계획이다. 

단기적으로는 확장 재정을 통한 경기 부양, 장기적으로는 인공지능(AI) 등 첨단산업 중심의 신성장 동력 확보 전략도 병행할 방침이다.

상명대 경영학과 서지용 교수는 “경제성장률은 내수가 얼마나 살아나느냐가 중요 포인트가 될 것 같다”며 “추경과 같은 재정 확대가 중요하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한주 민주연구원장은 전날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지역화폐는 민생 경제를 살리는 진통제 같은 효과가 있다”며 “(추경안에서) 민생으로 돌아가는 부분 중에 상당히 많은 부분을 지역화폐로 발행해 어떤 지역에서 얼마 동안 쓰게 할 것인가를 얘기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