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 90%, “청년층 대상 금융지원정책 필요”
【투데이신문 문영서 기자】 청년도약계좌 가입 청년 10명 중 9명이 청년층을 위한 금융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그중 자산형성과 대출이자 지원에 대한 수요가 가장 높게 나타나청년들의 자산 형성과 금융 부담 완화에 대한 정책 수요가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10일 서민금융진흥원(이하 서금원)은 청년도약계좌(청도계) 도입 2주년을 맞아 지난달 가입자 11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91.6%가 ‘청년층 대상 금융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필요하다고 꼽은 정책 분야(중복응답)는 ‘저축·투자 등 자산형성 지원’이 44.0%로 가장 높았고, ‘대출 이자 지원’(19.1%)이 뒤를 이었다.
청도계 가입 사유를 묻는 질문에서는 ‘자산형성 목적’이 절반(50%)을 차지했고, 주택자금 마련과 결혼자금 마련 등이 뒤를 이었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의 안정적인 저축을 돕는 정부 지원 금융상품으로, 지난달 말 기준 누적 가입자는 214만명, 누적 납입금액은 12조6145억원에 달한다. 가입유지율은 84.2%에 이르고, 이 중 2년 이상 매월 빠짐없이 적금을 납입한 청년은 약 12만명(7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금원은 청년도약계좌 도입 2주년을 맞아, 가입기간 2년이 경과한 경우 부분인출 서비스와 성실납입자 대상 개인신용평가점수(이하 신용점수) 가점 부여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가입유지자들의 저축습관 형성과 안정적인 금융생활을 지원하기 위함이다.
이어 이날부터 2년 이상 가입자가 기존 납입액의 최대 40%까지 부분 인출할 수 있는 서비스도 도입한다. 부분인출서비스는 2년 이상 가입자가 가입기간 중 1회 이용할 수 있으며, 기존 납입액의 최대 40% 범위 내에서 이용 가능하다. 단, 부분 인출금액에 대한 이자, 이자소득세 부과 및 정부기여금 지급 기준은 중도해지한 경우와 동일하게 적용된다.
설문 응답자의 80% 이상은 부분인출 서비스(81.5%)와 신용가점 부여(87.9%)를 유용한 서비스로 평가했다.
이외에도 다양한 금융상품 도입을 통한 선택의 폭 확장, 가입기간별 혜택 등 가입 유지 인센티브 제공, 금융교육 콘텐츠 및 재무관리 상담 확대 등의 의견도 있었다.
서금원 이재연 원장은 “청도계 도입 2주년을 맞아 지원되는 신규 서비스들이 급작스런 자금수요 대응 등을 통해 안정적인 금융생활을 하는 데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며 “청년들의 눈높이와 니즈에 맞는 상품과 컨설팅·교육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청년층의 금융생활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