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 빛과 AI의 만남: 영상 조명과 인공지능
인공지능(AI)이 이제 우리 일상 곳곳에 깊숙이 스며들고 있다. 기술의 발전 속도가 그 어느 때보다 빠른 지금, AI에 대한 이해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
이에 발맞춰 커뮤니케이션북스는 지난해부터 인공지능총서를 통해 교육, 의료, 산업, 사회, 예술, 철학, 국방, 인문 등 전 분야를 아우르는 AI 담론을 폭넓게 조명해왔다. 인공지능총서는 2025년 8월 20일 현재 430종에 이르렀으며, 올해 말까지 630종 발간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AI 기술의 핵심 이론부터 산업계 쟁점, 일상의 변화까지 다각도로 다루면서 학계와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또한 인공지능총서 저자들은 최근 ‘AI 3대 강국 실현’을 위한 공동 성명서를 발표하며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기도 했다.
AI가 단순한 기술 혁신을 넘어 인간의 존엄과 지속가능한 미래로 이어지기 위해선 어떤 가치와 기준이 필요할까. 투데이신문은 인공지능총서 저자들이 제시하는 ‘지속가능한 AI 사회’를 향한 제언을 독자들에게 전한다.
빛은 언제나 인간의 감각과 문화의 중심에 있었다. 고대 그리스 극장의 햇살은 신과 인간이 만나는 장엄한 무대였고, 중세 대성당의 스테인드글라스는 빛을 통해 신비와 구원을 전했다. 근대에 들어 전기의 불빛은 도시의 밤을 바꿨고, 영화와 방송의 조명은 현대인의 감정과 이야기를 드러내는 언어가 됐다. 빛은 단순한 물리적 요소가 아니라, 인간의 진실과 감정을 비추는 매개체였다. 이제 이 빛은 인공지능(AI)이라는 새로운 동반자를 만나 또 한 번의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AI가 가져온 변화는 단순한 자동화를 넘어선다. 데이터 분석과 알고리즘 학습을 통해 장면의 의도를 해석하고, 배우의 감정을 읽어내며, 관객의 반응을 실시간으로 분석한다. 전통적으로 무대를 비추는 장치였던 조명은 이제 인간과 AI가 함께 빚어내는 예술적 언어로 진화하고 있다. 관객의 호흡, 음악의 리듬, 카메라의 움직임이 모두 데이터로 바뀌고, 그 데이터는 다시 빛으로 태어난다.
오늘날의 AI 기반 조명은 두 가지 차원에서 발전하고 있다. 하나는 상상과 디자인의 차원이다. 생성형 AI는 연출이나 조명 전문가의 머릿속에 있는 분위기를 이미지로 구현한다. 햇살의 질감, 특정 색채 팔레트, 극적인 대비를 가상 무대에서 시뮬레이션하며 아직 손에 닿지 않은 아이디어를 미리 비춰준다. 이는 창작을 넓히는 스케치 도구이자 새로운 상상의 파트너다.
다른 하나는 현장 제어의 차원이다. 공연 무대에서는 가수의 움직임에 따라 스포트라이트가 자동으로 반응하고, 관객의 호응에 맞춰 색과 패턴이 변한다. 방송에서는 진행자의 위치와 피부 톤에 맞춰 조명이 자동으로 조정되며, 영화 세트에서는 LED 볼륨 스테이지와 실시간 렌더링 엔진이 결합해 카메라의 움직임과 장면 톤에 맞춰 즉시 조명이 보정된다. 아직은 실험 단계지만, 이 기술은 연구실의 그림자를 넘어 무대 위에서 빛을 다루는 또 하나의 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 두 차원은 서로 보완하며 점차 융합될 것이다. 상상 속 빛을 그려내는 AI와 현장에서 실제로 빛을 움직이는 AI가 연결돼, 창작에서 구현까지 끊김 없이 이어지는 새로운 조명 생태계를 열 것이다. 예술적 구상에서 무대 실현까지 이어지는 ‘빛의 파이프라인’이 열리는 순간이 다가오고 있다.
그러나 변하지 않는 사실이 있다. AI 기반 조명은 인간을 대체하는 기술이 아니라, 인간의 직관과 감각을 확장하는 동반자라는 점이다. 창작의 주도권은 여전히 인간에게 있으며, AI는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일관성과 효율성을 보장하는 보조자일 뿐이다. 하지만 여기에는 반드시 윤리적 책임이 따라야 한다. AI가 다루는 데이터는 인간의 얼굴과 몸짓, 감정과 연결돼 있으며, 조명은 에너지 소비와 탄소 배출 같은 환경 문제와 직결된다.
따라서 AI 기반 조명이 진정한 예술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단순한 기술적 진보만으로는 부족하다. 인간의 권리를 지키고 지구 환경을 보호하려는 책임이 그 빛과 함께해야 한다. 아무리 정교한 기술이라 해도 그것이 인간의 감정을 소외시키거나 자연을 해친다면, 그 빛은 더 이상 예술이라 부를 수 없다. 예술의 빛은 언제나 인간과 세상을 향한 공감에서 시작되며, 그 위에 기술이 얹힐 때 무대 위에서 살아 숨 쉴 수 있다.
결국 AI와 인간이 함께 다루는 빛은 단순한 기술적 성취를 넘어선다. 인간의 직관, AI의 분석, 그리고 윤리와 지속가능성이 더해질 때, 무대 위의 빛은 비로소 예술의 언어로 완성된다. 미래의 영화 세트와 공연 무대, 방송 스튜디오는 단순한 기술의 집합체가 아니라, 인간과 AI가 감각을 나누고 협력하는 무대가 될 것이다.
필자소개
MBC플러스 조명 감독이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3년 MBC 그룹에 입사해 30년 넘게 조명을 담당했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겸임교수로 조명연출론, 조명공학을 가르쳤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영상 조명’에 참여했다(2013). 현재 조명 감독으로서 다양한 장르의 방송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으며 조명과 영상에 관한 저술과 학회 활동을 하고 있다. 저서로는『방송 조명 연출』(2015), 『촬영 조명 실무』, 『조명 연출』, 『디지털 영상 조명』등이 있다. “방송조명에서 색온도가 영상에 미치는 영향분석”(2011) 등 다수의 논문을 게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