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P 격노설’ 윤석열, 해병특검 첫 출석…수사외압 본격 조사

2025-11-11     박효령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 9월 26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진행된 특수공무집행방해,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등 혐의 사건 첫 공판에 출석해 있는 모습. [사진제공=뉴시스]

【투데이신문 박효령 기자】윤석열 전 대통령이 이명현 순직해병 특별검사팀에 피의자 신분으로 처음 출석했다. 이번 소환조사는 해병특검이 출범한 지 133일 만에 이뤄졌다.

윤 전 대통령이 탑승한 호송차는 11일 오전 9시 46분께 서울 서초구 소재 특검팀 사무실에 도착했다.

앞서 특검팀은 주요 피의자·참고인 조사는 공개 입장이 원칙이라고 밝힌 바 있으나 이날에는 현장 안전 문제 등을 고려해 비공개 방식으로 출입하도록 했다.

윤 전 대통령은 순식해병 사건 초동 수사 과정에서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이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 피의자로 적시된 보고를 받은 뒤 격분해 해병대 수사단과 국방부 조사본부 등에 직·간접적인 외압을 행사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와 함께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수사를 받고 있던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을 해외로 도피시키기 위해 호주대사로 임명하고 출국·귀국 과정에서 외교부와 법무부에 부당한 지시를 내린 혐의도 있다.

특검팀은 지난달 23일 윤 전 대통령을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와 범인도피 등 혐의로 첫 조사를 진행하려 했으나 무산됐다. 이후 이달 8일 재차 출석을 통보했지만 내란 혐의 재판 준비 등을 이유로 불응했다. 이에 특검팀은 세 번째 소환 통보를 보냈고 결국 이날 조사가 성사됐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을 상대로 수사 외압의 경위와 구체적 지시 내용, 관련자 간 보고·전달 과정 등을 집중적으로 캐물을 방침이다.

지난 7월 출범한 특검팀은 이른바 ‘VIP 격노설’의 진위 규명에 수사력을 집중해 왔다. 이후 국방부와 해병대 등 주요 관련자들을 상대로 대대적인 압수수색과 조사를 펼쳤다. 넉 달간의 수사를 통해 특검팀은 주요 사실관계와 증거 확보를 마쳤다고 판단, 이후 윤 전 대통령 조사 결과를 토대로 기소 여부를 최종 결정할 계획이다.

특검팀은 조사할 사안이 많아 최소 두 차례 이상 윤 전 대통령을 소환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해병특검팀의 수사 기한은 오는 28일까지다.

현재 수사를 이어가고 있는 3개 특검 가운데 윤 전 대통령이 조사를 받은 것은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팀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다. 내란특검팀의 두 차례 소환 요구에 불응했던 윤 전 대통령은 지난달 15일 특검이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강제 구인에 돌입하자 자진 출석한 바 있다. 다만 당시 대부분의 질문에 진술거부권을 행사한 것으로 파악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