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동 항소 포기’에 다시 뛰는 한동훈…정치권 복귀 수순일까
【투데이신문 박효령 기자】국민의힘이 정부를 향해 검찰의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를 정면으로 몰아붙이고 있지만 정작 시선은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에게 쏠리고 있다. 당 지도부의 공세가 힘을 받지 못하는 사이 한 전 대표의 발언과 행보가 오히려 정치권의 주목을 끌면서 존재감을 다시 키우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14일 정치권에 따르면 법무부 장관을 지낸 한 전 대표는 대장동 항소 포기 논란이 불거진 뒤 연이어 의견을 내놓으며 전면에 나서고 있다. 오랜 검사 경력에서 비롯된 법률·수사 경험을 바탕으로 대여 공세의 선봉 역할을 자처하는 모습이다.
한 전 대표는 전날 YTN라디오 ‘김준우의 뉴스 정면승부’에 출연해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 논란의 중심인 노만석 전 검찰총장 직무대행을 향해 “이번 사안만 놓고 말하자면 공직자 자격도, 검사 자격도 없다”며 “감옥 가야 마땅하고 자신의 재산으로 성남시민 손해를 메꿔놔야 한다”고 비판했다.
대통령실과 법무부가 ‘외압 의혹’을 일축한 것에 대해서는 “항소 포기로 인한 최종 수혜자는 김만배 일당과 이재명 대통령”이라며 “검찰총장 퇴근 30분 전 전화 한 통으로 항소 결정을 뒤집을 수 있는 사람은 단 한 명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해당 문제에 적극적으로 나서는지 묻는 질문에는 “오히려 왜 다른 사람들이 대응하지 않느냐고 물어야 한다”며 “검찰을 권력의 개처럼 굴릴 수 있다는 몸풀기를 한 뒤 결국 이 대통령과 관련한 모든 사건을 누군가를 시켜서 사건의 공소 취소로 이어지는 것이라고 보고 있다. 그래서 폭주를 막기 위해 절박하게 나섰다”고 설명했다.
정치권에서는 지방선거가 7개월 앞으로 다가온 시점에서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 논란을 처음으로 크게 띄운 인물이 한 전 대표라는 사실에 이목을 집중하고 있다. 검찰이 항소 포기를 발표한 당일 한 전 대표는 SNS를 통해 “11월 8일 0시 대한민국 검찰은 자살했다”며 가장 먼저 비판에 나섰다. 한 전 대표의 발언이 연일 화제를 모으면서 오히려 제1야당 지도부의 역할은 상대적으로 묻히는 모양새라는 평가가 나왔다.
더욱이 한 전 대표는 전·현직 법무장관과도 공방을 벌이며 논쟁을 확장하고 있다.
한 전 대표는 현직인 법무부 정성호 장관과 추미애 전 장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대해 허위사실유포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에 나설 것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또 조국 전 장관(조국혁신당 전 비상대책위원장)과는 검찰 항소포기로 인한 ‘대장동 사건’ 범죄수익 환수 차질을 두고 ‘법리 논쟁’을 벌였다.
더 나아가 세 사람을 향해서 관련해 공개 토론을 하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한 전 대표는 12일 자신의 SNS를 통해 “세 분은 이미 각각 대장동 일당 불법 항소 취소에 대해 저와 공방을 벌이셨으니 공개 토론을 피할 이유가 없을 것”이라며 “저는 언제든지, 김어준 방송 포함해서 어느 방송이든, 한 명이 아니라 여럿이라도 좋다”고 말했다.
한 전 대표가 이번 항소 포기 사안을 계기로 여권을 향해 강도 높은 비판을 쏟아내고 있는 가운데, 정치권에서는 다가올 재보궐선거 등을 염두에 두고 자신의 정치적 존재감을 부각하기 위해 적극적인 공격 행보를 택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여권에서의 비판도 거세다. 한 전 대표가 지지층을 결집시키기 위해 특정 사안만을 골라 ‘편향된 법치’를 내세우고 과도한 공세에 몰두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더불어민주당 김현정 원내대변인은 지난 11일 논평을 내고 “본인을 향해 공공연히 살심(殺心)을 품고 분노를 표출했던 내란수괴에 대해서는 입도 벙긋 못 하더니 뒤늦게 극우 보수의 눈길 한 번 끌어보겠다고 국민이 뽑은 대통령을 끌어들이는 모습이 희한할 따름”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한 전 대표가 지금 분노를 표할 곳은 내란수괴이지, 국민이 뽑은 대통령이 아니다”며 “지금 해야 할 일은 희한한 분노가 아닌 내란수괴와 함께 검찰을 정권의 하수인으로 전락시킨 일에 대한 진정한 사과”라고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