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한일령’ 확산 조짐...일본 수요 공백에 국내 유통업계 반사 이익 기대감↑

2025-11-25     김이슬 기자
서울 중구 롯데면세점 본점에서 중국인 관광객들이 면세 처리를 위해 대기하는 모습. ⓒ투데이신문

【투데이신문 김이슬 기자】 중국 정부가 일본 여행과 콘텐츠 소비 등을 자제하도록 하는 ‘한일령(限日令)’ 기조를 강화하면서 중국 내 일본 수요가 위축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중국발 소비 흐름에 변화 조짐이 나타나자 국내 유통업계는 반사이익 발생 여부를 주목하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중국은 일본 총리의 ‘대만 유사시 집단 자위권 행사 가능’ 발언에 반발해 자국민에게 일본 여행·유학 자제를 권고했다. 이에 중국국제항공·중국동방항공 등 주요 항공사들이 일본 노선 취소·변경 수수료 면제에 나섰고, 일부 지역에서는 일본 영화·예능 콘텐츠 개봉을 연기하거나 일본 관련 교류 행사를 취소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중국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도 일본 브랜드 구매를 자제하는 반응이 늘고 있다. 업계는 이러한 정서 변화가 특정 품목군 수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화장품·패션 등 일본 브랜드 비중이 높은 카테고리는 대체 제품을 선택할 여지가 넓어 국내 기업들이 관련 시장 변화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있다.

키움증권 조소정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중국의 수입 제한 정책이 현실화될 경우 화장품 연구·개발·생산(ODM) 업체가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며 “중국 내 로컬 브랜드 선호가 커진 상황에서 일본 브랜드 공백이 생기면 로컬 브랜드 점유율 확대가 이뤄질 수 있으며, 중국 내 생산 인프라를 가진 ODM 기업들은 이에 따른 수주 증가 가능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여행 업계는 이번 조치가 여행지 선택 변화로 이어질지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앞서 일본 방문이 제한될 경우 주변국으로 여행 수요가 이동한 바 있다. 2012년 센카쿠 열도 갈등 당시 중국인의 일본 방문이 감소했고, 2016~2017년 사드(THAAD) 보복 시기에는 한국·일본·동남아 지역 간 중국인 관광객 비중이 큰 폭으로 변동했다. 

DS투자증권 김수현 연구원은 “중국이 일본을 전략적 파트너가 아닌 주변국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화되고 있다”며 “현재 기조가 내년 춘절(2월 17일) 전후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또 “올해 9월까지 누적 방한 중국인 관광객이 코로나 이전의 79%, 2016년 대비 약 55% 수준인 만큼 증가 여력은 남아 있다”고 설명했다.

면세 업계도 최근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요 흐름을 점검하고 있다. 유통업계는 중국 경기 흐름, 소비 패턴 변화, 정책 지속 기간 등을 주요 변수로 보고 있으며, 향후 몇 달간 관련 지표를 중심으로 중국발 수요 변화 여부를 확인할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여행·화장품·면세 등 관련 기업들은 중국 내 소비 정서와 실제 구매 데이터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며 “항공권 검색량, 방문 예약 추이, 현지 온라인몰 판매 지표 등을 종합적으로 확인해 향후 대응 전략을 조정하고 있다. 겨울 성수기와 내년 초 데이터가 중요한 참고 지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