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인형 “계엄 불가” 직언 후 윤석열에 무릎…“무례했다 생각했다”
【투데이신문 성기노 기자】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이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계엄은 불가능하다’고 직언한 뒤, 무례했다는 생각에 자리에서 무릎을 꿇었다는 증언을 내놨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는 24일 내란 우두머리 및 직권남용 혐의로 기소된 윤 전 대통령의 속행 공판을 열고 여 전 사령관을 증인으로 불러 신문했다.
여 전 사령관은 12·3 비상계엄 선포 전 계엄 대비 문건과 포고령 초안 작성 등에 관여해 ‘계엄 행동대장’으로 불린 인물이다. 그의 진술에 따르면 지난해 5~6월경 삼청동 안가에서 윤 전 대통령·김용현 당시 국방장관과의 저녁 자리에서 윤 전 대통령이 시국을 거론하며 비상대권 조치와 계엄 가능성을 언급했다는 것이다.
특검은 해당 자리에서 윤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 대권 아니면 나라 정상화 방법이 없지 않느냐”는 취지로 말했는지 물었고 여 전 사령관은 국정원 대공수사권 이관 상황 등을 설명하며 당시 분위기를 돌아봤다.
이어 특검이 “그 자리에서 증인이 계엄을 생각하지 말라고 말하고 무릎을 꿇었느냐”고 묻자, 여 전 사령관은 “대통령이 감정이 격해진 상태에서 비상대권과 계엄을 언급했고 통수권자가 군의 실제 상황을 잘못 알고 있다고 판단해 실태를 말씀드렸다”고 답했다.
그는 “계엄 훈련은 전시·평시 모두 한 번도 한 적이 없다. 육군 병력 30만 명이 전방 전투에 투입돼야 해 계엄에 동원될 인력 자체가 없다”며 “사회질서 유지도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평시에 무슨 계엄을 하느냐’고 군의 실태를 그대로 말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일개 사령관으로서 무례하게 들렸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술도 한두 잔 들어가 있었고, 그래서 무릎을 꿇었다”며 “전시·평시를 통틀어 군은 계엄 준비를 해본 적이 없다. 나에게도 충격적인 순간이었다”고 진술을 마무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