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투자증권, 미뤄지는 옵티머스 선지급 결정 ‘혼란 가중’…투자자들 “전액보상 하라”

NH투자증권, “보상비율 정해진 바 없어…지급 방안 논의 중“ 피해 투자자들 “100% 불완전 판매 상품…전액 보상이 합당”

2020-07-09     이세미 기자
NH투자증권이 투자자에게 배포한 옵티머스 펀드 상품숙지자료 ⓒ투자자 제공

【투데이신문 이세미 기자】 옵티머스자산운용의 사모펀드 상품 최대 판매사인 NH투자증권이 선지급 보상안을 놓고 고심 중인 가운데 피해 투자자들의 ‘전액상환’ 주장이 거세지고 있다. 앞서 한국투자증권이 조건 없이 70%선지급을 결정함에 따라 NH투자증권을 향한 압박이 안팎으로 커지고 있는 모양새다.

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NH투자증권의 옵티머스펀드 피해 투자자들을 위한 선지급 보상 방안이 미뤄지면서 투자자들의 항의가 빗발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옵티머스 펀드의 최대 판매사인 NH투자증권은 투자자 보호와 신뢰회복 명목으로 선지급 결정을 일찌감치 내렸다. 그러나 최근 NH투자증권 관계자가 “긴급 유동성 공급차원에서 보상안 지급 방안을 논의 중이며 적정 지급비율 등은 아직 정해진 게 없다”고 밝힘에 따라 보상 방안 발표가 더 지연될 것이란 관측이 잇따른다.

옵티머스는 지난 2017년 6월부터 투자자들에게 공공기관이나 매출채권에 투자해 연 2.8%~3.2%의 수익을 낸다며 수천억원의 투자금을 모았고 지난달 17일 잇따라 환매가 중단됐다. 현재 검찰은 옵티머스자산운용이 서류를 위조하고 대부업체나 불법 사모사채에 투자한 의혹에 대해 수사중이다.

지난 5월말 기준 옵티머스 펀드 최대 판매사인 NH투자증권의 옵티머스 펀드 판매 잔액은 4528억원으로 이는 전체 88%를 차지한다. NH투자증권의 선지급을 놓고 세간의 관심이 모아지는 이유다.

옵티머스 펀드 판매는 한국투자증권이 407억원, 케이프투자증권 149억원, 대신증권 45억원, 하이투자증권 25억원, 한화투자증권 19억원 등의 순으로 이뤄졌다.

이에 한국투자증권은 지난 7일 조건 없이 원금의 70%선지급 보상을 판매사 중 제일 먼저 결정했다.

NH투자증권이 한국투자증권처럼 원금의 70%를 지급할 경우 지급할 금액은 총 3210억원에 달한다. 그러나 NH투자증권이 상장사인 만큼 피해규모가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투자금을 돌려주기엔 무리가 있어 보인다. 

피해규모나 불완전판매 여부 등 책임소재가 밝혀지지 않은 현 상황에서 선지급이 이뤄진다면 외국인 등 주주들로부터 배임소송을 당할 가능성을 배제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모든 선지급, 선보상 결정은 이사회를 통해 결정되는 만큼 NH투자증권의 실적에 영향을 미칠 대규모 선지급안이 이사회에서 바로 결정될 가능성은 현저히 낮다.

업계에서도 이같은 이유로 NH투자증권이 한국투자증권의 선보상 이상의 수준으로 보상안을 내놓지 못할 것이며, 선지급 논의 기간이 더 길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앞서 NH투자증권 정영채 사장은 옵티머스펀드 가입고객에게 보낸 CEO 편지에서 “현재 펀드 자산 보전, 관련자들에 대한 고발 및 개인자산 동결 등 모든 가능한 조치를 취하기 위해 백방으로 뛰고 있으며 모든 조치를 취한 이후에도 판매사로서 져야 할 책임은 회피하지 않고 기꺼이 감당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판매사가 사모펀드의 운용자산을 직접 확인할 수 없는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본 펀드의 문제를 좀 더 빨리 확인하고 대처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투자자들은 보상안과 관련, NH투자증권의 이 같은 상황에 대해 ‘어이가 없다’는 반응이다.

현재 NH투자증권은 해당 펀드 투자자들에게 불완전판매를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옵티머스 펀드 일부 투자자들은 NH투자증권의 불완전판매 정황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녹취록을 공개한 바 있다. 이에 금감원 자산운용감독국은 지난 6일부터 NH투자증권에 대한 현장 검사에 착수했다.

투자자 A씨는 “이번 사건의 문제점은 NH투자증권이 옵티머스펀드의 실효성 자체를 파악하지 않고 이후에도 사실관계를 조사하지 않은 채 사기 상품을 고객에게 떠넘겨버린 것”이라며 “운용사 부실을 몰랐다며 핑계를 대는 NH투자증권의 입장은 말도 안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NH투자증권도 피해를 봤다고 주장하는데 피해를 본 것이 도대체 무엇인지 묻고 싶다”라며 “지금까지 수수료를 다 챙겨놓고선 피해자 보상을 미루고 있는 건 핑계”라고 선을 그었다.

또한 “100%선지급 보상안이 나오지 않을 경우 우선적으로 불완전판매를 한 PB들을 상대로 형사고발을 할 것”이라는 입장을 내비쳤다.

보상안을 두고 NH투자증권과 투자자들의 간극이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지난 8일 일부 투자자들은 NH투자증권 PB가 50%선지급 제안에 대한 의견을 물어왔다고 주장했다.

이에 NH투자증권 관계자는 “보상 비율은 아직 결정된 바 없으며 PB가 상황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오해가 생겼던 것 같다”고 해명했다.

투자자 B씨는 “우리가 잠시 맡긴 돈은 여윳돈이 아니라 청춘을 다 바쳐서 한 푼 두 푼 모은 것으로 노후생계를 책임질 마지막 종잣돈이었다” 라며 “굉장히 안전하다는 말을 듣고 잠시 맡겨둔 것”이라고 하소연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