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노조, 분류작업 거부 철회…“정부‧업계 대안 긍정 평가”

2020-09-18     김효인 기자
ⓒ뉴시스

【투데이신문 김효인 기자】 과중 업무에 대한 고통을 호소하며 오는 21일부터 택배 분류작업을 전면 거부하기로 했던 택배노동자들이 해당 결정을 철회했다.

택배 노동자 과로사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는 18일 입장문을 통해 “택배 분류작업에 1만명의 인력을 충원한다는 정부 대책을 받아들여 오는 21일부터 분류작업을 전면 거부한다는 기존 계획을 전격 철회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앞서 대책위는 전날 서울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는 21일부터 전국택배연대노조 조합원을 포함한 4000여명의 택배 노동자들이 분류작업을 전면 거부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이날 대책위는 “분류작업 전면 거부는 죽지 않고 살기 위한 택배 노동자들의 마지막 호소”라며 “온 사회가 분류작업 인력투입을 요구하고 있는데, 택배사들은 눈과 귀를 가린 채 버티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고용노동부와 국토교통부는 같은 날 택배업체들과의 간담회를 통해 택배 종사자들의 업무를 줄이고 원활한 택배 서비스가 이뤄질 수 있도록 인력을 추가 투입하기로 하는 등 관련 대책을 내놨다.

특히 추석 성수기인 다음달 16일까지 택배 허브(Hub·거점) 및 서브(Sub·지역) 터미널에 분류작업 인력 등을 일평균 1만여명 추가 투입하기로 했다. 아울러 택배 종사자의 안전을 위해 심야 시간까지 배송이 이뤄지지 않도록 노력하고, 종사자가 원할 경우 물량 또는 구역을 조정할 수 있도록 했다.

대책위는 이 같은 정부와 택배업계의 대책 마련과 관련해 이날 오후 ‘정부 발표에 따른 대책위 입장’이라는 보도자료를 내고 “아쉬움은 있지만 국민의 불편함 등을 고려해 예정돼 있던 계획을 변경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분류작업 거부 결정을 철회한 만큼 대책위는 즉시 각 택배사와 대리점에 분류작업 인력 투입에 따른 업무협조 요청서를 발송함과 동시에 오는 23일부터 인력 투입에 따른 출근시간을 당초 오전 7시에서 9시로 조정한다는 방침이다.

대책위 관계자는 “이번에 발표한 대책이 택배 노동자들의 과로사를 미연에 방지하는 데 다소 미흡하기는 하지만 정부의 의지와 노력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며 “다만 정부와 택배업계가 약속한 분류작업 인력 투입이 진행되지 않을 경우 다시 한 번 특단의 조치를 취할 수 있음을 밝힌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