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용 점차 갖춰지는 야권, 선거판 들썩들썩
내년 4월 서울시장 재보선, 점차 윤곽 드러나 국민의힘, 시민후보 위해 국민조사 비중 높여가 자당 소속 정치인 속속 출마 선언 이어지고 있어 출마하겠다는 금태섭, 국민의힘 입당 일단 거부 안철수도 뜬다면 국민의힘은 더욱 입지 좁아져
【투데이신문 한정욱 기자】 내년 4월 서울시장 보궐선거는 그야말로 야권에게는 중요한 잣대 중 하나다. 왜냐하면 부산시장 보궐선거의 경우에는 국민의힘 자체의 힘만으로 충분히 후보를 내세울 수 있지만 서울시장 보궐선거는 ‘시민후보’ 전략을 내세우고 있는 만큼 당의 입김이 들어간 후보를 내세울 수 없다. 이런 이유로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시민후보 혹은 자체 후보 등을 놓고 팽팽한 신경전이 벌어졌다. 선거가 점차 다가올수록 후보군의 윤곽이 점차 뚜렷해지고 있는 만큼 후보 인물난에 휩싸였던 야권이 인물 풍년을 겪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내년 4월 서울시장 보궐선거는 야권에게는 절대적으로 유리한 선거라는 것이 대체적인 평가였다. 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사망으로 인해 치러진다는 점에서 여권에게는 절대적으로 불리하고 야권에게는 절대적으로 유리한 선거다. 더욱이 더불어민주당은 안희정 전 충남지사, 오거돈 전 부산시장 등으로 계속 성추문이 발생했다. 그렇기에 여당에 대한 여론의 악화가 된 상태에서 치러지는 선거이다. 따라서 여권에게는 절대적으로 불리한 선거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야권에게 유리한 선거가 아니라는 것이 점차 드러났다. 그 대표적인 이유는 ‘후보난’이다. 국민의힘을 비롯한 야권에서 후보를 내세울만한 인물이 없었다. 부산시장 보궐선거에서는 국민의힘 내부에서 너도나도 후보로 나서겠다는 사람들이 많았지만 서울시장 보궐선거의 경우에는 후보가 없었다.
국민의힘은 서울시장 후보를 찾을 수 없었기 때문에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를 내세워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이른바 야권연대에 불이 지펴지기도 했다. 안 대표는 서울시장에 출마하지 않겠다고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서울시장 후보로 거론되고 있는 인물이다. 유승민 전 의원 역시 본인은 서울시장 출마의 뜻이 없다고 명확히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도 서울시장 후보군에 포함돼 있다. 그만큼 인물난을 겪으면서 여러 가지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국민의힘 경선관리위원회에서는 결국 꺼내든 카드가 ‘시민후보’였다. 국민의힘 내부에서 후보를 선출하기 힘드니 ‘시민후보’를 통해 선출하겠다는 것이다. 이는 국민의힘이 문호를 개방해서 외부에서 인재를 영입해서 경선에 참여시키겠다는 계산이 깔려있다. 이를 위해 당원 투표 50 대 일반국민 여론조사 50이라는 경선룰을 개정해서 일반국민 여론조사 비중을 높인다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그만큼 외부에 문호를 개방하겠다는 것을 말한다. 다만 내부에서도 비판적인 목소리가 높다. 왜냐하면 당심과 민심의 왜곡 현상이 심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민 비중이 높게 된다면 일반 당원들이 당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아무 것도 없게 되기 때문에 상대적 박탈감이 생기게 된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국민 비중이 높아서는 안 된다는 비판도 나온다. 하지만 일반 국민의 비중이 높아지는 것은 시대적 흐름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는 이야기도 있다. 더욱이 후보 인물난을 겪고 있는 국민의힘으로서는 문호를 개방해서 시민후보들도 국민의힘 경선에 참여하게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국민의힘 경선 룰은
다만 누가 국민의힘 경선에 참여할 것인가 여부다. 이런 이유로 일각에서는 결국 야권연대론이 힘을 받게 될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국민의힘이 아무리 힘이 약해졌다고 해도 제1야당이고, 또한 엄청난 조직력을 갖추고 있는데 어느 시민 후보가 국민의힘으로 들어가서 힘든 싸움을 하려고 하겠냐는 것이다. 시민후보가 제3지대에서 국민의힘과 경쟁하는 편이 훨씬 유리하다. 따라서 국민의힘이 시민후보를 내세운다고 하지만 현실적으로 쉽지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일각에서는 아예 빅텐트론을 꺼내들었다. 서울시장 보궐선거 전에 야권이 하나로 뭉쳐서 하나의 정당으로 거듭나자는 것이다. 안 대표는 혁신적 플랫폼 아래에서 뭉치자는 이야기를 꺼내들었다. 이에 신당 창당이냐는 보도가 쏟아졌고, 안 대표는 신당 창당은 아니라고 해명했지만 정치권 상당수는 신당 창당에 무게를 싣고 있다. 다만 이럴 경우 103명의 정당과 3명의 정당이 동급 취급으로 통합 정당에 합류한다는 점에서 국민의힘이 난색을 표하고 있다. 즉, 국회의원 숫자만큼 자신의 권리를 갖고 통합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서울시장 보궐선거 전에 통합야당이 나올 가능성은 매우 낮아 보인다.
이런 이유로 가장 현실적인 야권연대는 결국 각자 후보를 내세운 후 후보 단일화를 거치는 방법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야권이 하나의 통합 정당을 만들 수 없다면 각자 후보 경선을 거쳐 후보를 확정져 그에 따라 야권 단일 후보를 배출한다는 전략이다. 이 방법이 그동안 가장 많이 써왔던 방법이면서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기도 하다. 아마도 국민의힘 측에서 서울시장 후보를 내세우고 국민의당에서, 시민사회에서, 그리고 태극기 부대 등에서 서울시장 후보를 각자 내세울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그 후보들이 단일화 과정을 거쳐 단일 후보로 탄생할 것으로 보인다.
핵심은 국민의힘에서 과연 후보를 낼 수 있느냐는 것이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점차 후보군 윤곽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가장 먼저 출마 선언을 한 사람은 박춘희 전 송파구청장이다. 이혜훈 전 의원 역시 출마 선언을 했으며, 김선동 전 의원도 출마 선언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나경원 전 의원은 20대 국회 패스트트랙 충돌 관련 재판 과정에 있기 때문에 신중한 입장이지만 곧 출마를 선언할 가능성이 높다. 이와 함께 본인은 대선 출마를 하겠다면서 서울시장 출마를 거부하고 있지만 유승민 전 의원 역시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다. 특히 지도부에서는 유 전 의원의 서울시장 출마를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 지도부가 유 전 의원에게 대선이 아닌 서울시장 출마를 계속 권유한다면 유 전 의원도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다. 국민의힘은 야권연대를 위해서라도 자당 소속 서울시장 후보를 반드시 내겠다는 분위기다. 후보를 내지 못한다면 그에 따른 정치적 후폭풍이 상당히 거세지기 때문이다. 이는 2022년 대선 주도권과도 연결되는 대목이다. 국민의힘이 대선 주도권을 쥐기 위해서는 서울시장 후보 야권연대 주도권도 쥐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유 전 의원에게 서울시장 출마를 심각하게 고민하라고 권유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하지만 국민의힘에게 가장 중요한 변수는 금태섭 전 의원이다. 금 전 의원이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후 현재 소속이 없는 상태다. 과연 금 전 의원이 국민의힘 소속으로 서울시장 출마를 할 것인지 여부다. 금 전 의원은 지난 17일 국민의힘 소속 의원들에게 강연을 하면서 서울시장 출마를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따라서 서울시장 출마의 가능성은 이제 변수가 아닌 상수가 됐다. 다만 소속을 어떤 식으로 해서 출마를 할 것인지 여부다. 일단 금 전 의원의 발언 등을 종합할 때 국민의힘으로 입당은 아직은 결정하지 못했다. 다만 국민의힘의 입당 가능성은 언제든지 열려있다. 이는 결국 국민의힘이 시민후보를 어떤 식으로 대우할 것인지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즉, 국민의힘이 시민후보 출신을 자당 소속 후보들과 비슷하게 경쟁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면 금 전 의원은 국민의힘 소속으로 서울시장 출마를 결심할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국민의힘이 자당 소속 후보들에게 힘을 실어주는 경선룰을 만든다면 금 전 의원은 국민의힘 소속으로 출마를 할 수 없게 된다. 그렇게 되면 결국 제3지대에서 출마를 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박 전 시장 역시 제3지대 후보로 출마를 해서 당선된 이후 더불어민주당에 입당한 사례가 있기 때문에 금 전 의원 역시 비슷한 경로를 밟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금태섭의 결단
핵심은 금 전 의원이 제3지대로 출마를 해서 시민후보로 나설 경우 국민의힘과의 야권연대를 과연 이뤄낼 것인지 여부다. 그러기 위해서는 국민의힘 소속 후보보다 높은 지지를 받아야 한다. 다만 금 전 의원은 ‘참신성’이라는 것이 있지만 진보층이나 보수층 모두에게 지지를 아직은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금 전 의원은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하면서 강성 친문 지지층으로부터 비난을 받았다. 그리고 계속해서 국민의힘과의 접촉면을 넓히면서 진보층에서는 금 전 의원에 대한 평가가 박해지고 있다. 반면 보수층에서는 금 전 의원이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했다는 이유로 아직도 정체성에 대해 의구심을 보이고 있다. 금 전 의원이 과연 보수 야권을 대변하는 서울시장 후보로 적합한지 여부에 대한 의구심이다. 이런 의구심을 금 전 의원이 떨쳐보이지 않는다면 보수층에서의 안착이 힘들다. 중도층만으로는 절대 힘들기 때문에 보수층에 안착을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금 전 의원이 보수층을 향한 메시지가 필요하다.
이런 이유로 금 전 의원이 제3지대 서울시장 후보로 나선다고 해도 성공할 가능성이 낮아 보이는 것이 현실이다. 실제로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지난 2012년 대선에 출마했을 당시 제3지대로 나섰지만 문재인 현 대통령이 새정치민주연합 소속으로 출마를 하면서 조직력 등에 밀릴 수밖에 없었다. 그런 이유로 결국 야권연대에서 문 대통령에게 후보를 양보해야 했다. 금 전 의원 역시 제3지대 서울시장 후보로 나서고 있지만 조직력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다면 그에 따른 성공 가능성은 낮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금 전 의원의 서울시장 출마가 호락호락하지 않다는 것이다.
또 다른 변수는 안 대표의 서울시장 출마 가능성이다. 안 대표는 계속해서 자신은 서울시장 출마를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야권에서는 안 대표의 서울시장 출마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야권의 안 대표 출마 목소리가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안 대표의 결단은 이뤄질 가능성도 매우 높다. 만약 안 대표가 서울시장 출마를 하게 된다면 국민의힘으로서는 정치적 입지가 약해질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안 대표와 금 전 의원 등이 외곽에서 자신의 인지도를 갖고 야권 단일화를 시도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된다면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분열 현상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자력으로 서울시장 후보를 낼 수 없는 현실에 대한 비판과 함께 김종인 비대위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만약 그런 상황까지 내몰린다면 국민의힘은 또 다른 변화의 바람이 불 것으로 예측된다. 이미 계속해서 국민의힘을 해체하고 새로운 보수 통합 야당을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데 안 대표와 금 전 의원이 외곽에서 서울시장 후보로 나선다면 이런 목소리는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국민의힘 현 지도부가 안 대표와 금 전 의원에 대해 평가절하를 하는 이유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하지만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안 대표와 금 전 의원의 서울시장 출마에 대해 긍정적으로 이야기를 하고 있는 일부 인사들도 있다. 그것은 결국 현 국민의힘으로는 2022년 대선을 치를 수 없다는 이유 때문이기도 하다. 결국 서울시장 출마 러시가 2022년 대선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며, 국민의힘의 미래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국민의힘으로서는 서울시장 재보선이 단순한 재보선이 아니라 자신의 운명을 바꿀 수 있는 중요한 변곡점이 된다.
안철수의 결심
서울시장 야권 단일화도 국민의힘을 변화시키는 원동력이 될 수 있겠지만 성적표 역시 국민의힘을 변화시키는 원동력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야권 단일후보가 승리를 한다면 국민의힘은 기존의 형태를 유지할 가능성이 있지만 패배를 한다면 국민의힘은 공중분해가 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으로서는 자당 소속 출마자가 야권 단일 후보가 되고, 그 야권 단일후보가 승리를 하는 것이 가장 좋은 시나리오이지만 이렇게 될 확률은 낮다는 점이다. 이에 4월 재보선 이후 국민의힘은 어떤 식으로든 또 다시 변화의 바람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측된다. 더욱이 2022년 대선을 위해서 야권 단일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이며, 그에 따라 국민의힘이 해체되고 새로운 야권 통합 정당의 출현 가능성은 그 어느 때보다 높다. 다만 그 시기가 너무 늦을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선거를 앞두고 이합집산을 한다는 비판 여론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국민의힘으로서는 서울시장 보궐선거에 올인을 해야 한다. 그래야만 국민의힘이 스스로 존재하는 정당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김종인 비대위의 고민이 깊어지는 이유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국민의힘이 현재의 형태를 온전히 지켜낼 수 있을지 아니면 4월 재보선 이후 또 다른 형태로 보수 정당이 탄생할 것인지는 이제부터 차근차근 준비해야 하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