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은행, 디스커버리펀드 피해자와 간담회…성과없이 종료
피해자 대책위 “은행 측, 사적화해 의지 없어…다시 투쟁 돌입”
【투데이신문 이세미 기자】 사모펀드 사태와 관련 금융감독원의 제재심을 앞두고 있는 IBK기업은행과 디스커버리펀드 사기피해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의 간담회가 별다른 성과 없이 끝나면서 갈등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14일 기업은행과 대책위는 이날 오후 2시 서울 IBK파이낸스타워에서 간담회를 가졌다. 간담회에는 기업은행 김성태 전무(수석부행장)와 임찬희 자산관리그룹 부행장, 최창석 피해대책위원장, 조순익 부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대책위는 간담회에 앞서 △배임이슈에 대한 법률적 검토 및 사적화해 가능성 △디스커버리펀드 환매 이후 펀드 청산절차 및 중간 점검 △금감원 제재심 이전 대책위 추가 의견 전달 △자율배상과 분쟁조정에 대한 입장 재확인 등 크게 4가지 의제를 확정했다.
그러나 대책위 관계자는 간담회를 마친 후 열린 브리핑에서 “기업은행의 디스커버리펀드 환매중단 사기 판매 사태의 사적화해 의지가 분명하지 않음을 확인했다”라며 별다른 성과 없이 간담회가 종료됐다고 발표했다. 이어 “기업은행 측에 ‘사적화해 실무협상단 구성’을 제안했지만 거부당했다”라고 덧붙였다.
대책위에서 요구한 사적화해란 문제가 생긴 펀드의 손실이 확정되지 않았지만 판매사가 투자자에게 피해금액의 일부를 선제적으로 지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후 분쟁조정을 거쳐 최종 결정된 보상금은 차액 정산된다.
이에 대책위는 잠시 중단했던 투쟁에 다시 돌입하겠다는 입장이다.
대책위 관계자는 “금감원 제재심에서 기업은행에 중징계가 내려질 수 있도록 계속 투쟁할 예정이며 이제는 디스커버리펀드 사기판매 피해회복을 위해 임명권자인 대통령과 청와대가 직접 나서야 할 차례다“라고 주장했다.
기업은행은 지난 2017년부터 2019년까지 디스커버리US핀테크글로벌채권펀드와 US부동산선순위채권펀드를 각각 3612억원과 3180억원을 판매했다. 그러나 미국 운용사가 채권을 회수하지 못해 해당 펀드가 환매 중단됐고, 기업은행은 투자자에게 원금의 최대 50%를 선지급 했다.
대책위는 선지급 50%가 결정된 후 지금까지 8차례의 대규모 집회를 실시했으며 지난해 7월에는 전국 19곳의 WM센터 순외 집회를 개최한 바 있다. 이들은 기업은행이 디스커버리펀드 상품의 불완전판매 등 사기성을 인정하고 100% 보상이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디스커버리펀드를 판매한 기업은행에 대해 이달 중 제재심을 개최하고, 오는 2분기 중 분쟁조정을 진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업계에선 지난해 말 금감원 제재심에서 라임펀드 등 사모펀드 사태와 연관된 증권사들이 중징계를 받은 바 있어 기업은행 역시 조사결과에 따라 중징계를 받을 가능성이 높다는데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기업은행이 금감원 제재심에서 중징계에 해당하는 기관 제재를 받을 경우 자산관리(WM) 부문 영업 등에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간담회서 구체적으로 어떤 논의들이 이뤄졌는지 알 수 없다”라며, 다만 “피해자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