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식품, 이물 검출 반복…김미애 의원 “먹거리 안전관리 대책 마련해야”

2021-10-08     김효인 기자
©김미애 의원실 제공

【투데이신문 김효인 기자】 대기업을 포함한 일부 제과업체의 식품에서 곰팡이·벌레는 물론 금속 등의 이물질 검출이 늘면서 식품 위생 관리에 대한 근본적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미애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식품 이물 신고 건수가 매년 증가하는 가운데 특히 대기업을 포함한 일부 제조업체의 이물 혼입이 반복되고 있다. 

김 의원은 “전체 이물 혼입 중 2회 이상 반복 혼입 비율이 2019년 27%(469건 중 126건), 2020년 41%(548건 중 224건)를 차지했다”며 “이를 업체 수로 따져보면 지난 2년간 이물 혼입 760개 업체 중 93개 업체에서 2회 이상 반복 혼입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실제로 자료를 살펴보면 반복적인 이물 혼입 업체 중에서 한해 53회(놀부명과)의 이물이 혼입된 사례도 확인됐다.

연도별 이물 검출 반복 업체는 2018년 농심 2회, 파리크라상 2회, 2019년 오리온 2회, 코스트코코리아 6회, 동아오츠카 2회, 오뚜기 2회, SPC삼립 4회, 2020년 파리크라상 2회, 동아오츠카 2회, SPC삼립 11회 등이었다.

김 의원은 “식약처는 연 2회 이상 이물이 검출된 업체는 특별관리업소로 지정해 정기적인 위생검사를 하고 있고, 5회 이상은 별도 관리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면서도 “매년 다수의 업체에서 이물 검출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은 허술한 관리·감독에 그 원인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선제적 예방을 위한 실질적 먹거리 안전관리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