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경기도민 행복지수 평균 ‘69점’…가장 큰 고민거리 ‘코로나19 스트레스’
【투데이신문 전소영 기자】 올해 경기도가 도민의 행복지수를 조사한 결과 평균 69점이며, 가장 큰 고민거리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로 인한 스트레스로 파악됐다.
경기도는 28일 도민들을 대상으로 스스로 느끼는 행복 수준 측정을 실시한 결과 가장 불행 0점, 가장 행복 100점을 기준으로 평균 69점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앞서 도는 지난 7월 만 18세 이상 경기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스스로 평가하는 행복 수준에 대한 조사를 실시했다. 당초 행복지수 조사는 2년 주기이지만, 2020년 초 코로나19가 발생하면서 2020년 특별조사에 나섰다.
이번 행복지수는 육체적 건강, 가족 관계 등 12개 항목 점수의 평균을 계산한 ‘차원종합 행복지수’와 더불어 종합적인 행복 수준에 대한 ‘전반적 행복지수’ 간 평균점수 값이다.
조사 결과 연도별 행복지수는 △2015년 67점 △2017년 68점 △2019년 67점 △2020년 69점으로 나타났다.
올해 경기도민 행복지수는 12개 항목에 따라 △가족관계 76점 △정신적 건강 71점 △친구․이웃관계 71점 △주거환경 71점 △육체적 건강 70점 등 순으로 가장 많았다.
항목별 행복지수 추이를 살펴보면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생활로 인해 ‘휴식․여가’가 2015년 61점에서 2021년 64점으로, ‘일과 가정생활 조화’가 2019년 66점에서 2021년 69점으로 상향된 양상을 보였다.
반면 ‘안전’은 2020년 63점에서 2021년 58점으로 대폭 떨어진 것으로 파악됐다.
월 가구소득에 따라서는 △안전 58점100만원 미만 54점 △800만원 이상 75점 등으로 소득이 늘어날수록 행복지수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700만원 이상 고소득 가구의 연도별 행복지수가 큰 변화가 없었다. 반면 100만원 미만의 경우 △2019년 48점 △2020년 57점 △2021년 54점이며, 100만원대는 △2019년 58점 △2020년 63점 △2021년 62점 등 저소득층은 행복지수가 2년 전에 비해 올라갔다.
사회적 거리두기 지속 상황 속에서 1인 가구 행복지수는 2019년 59점에서 64점으로, 미혼자의 행복지수는 2019년 66점에서 2021년 70점으로 2년 전과 비교해 올라섰다.
현재 경기도민들의 가장 큰 고민거리는 ‘코로나19로 인한 스트레스’가 28%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코로나19 상황 인식에 따른 행복지수는 ‘심각하다’는 계층은 68점, ‘심각하지 않다’는 72점이다.
이 밖에 고민거리로는 △본인․가족 건강 문제 13% △경제적 어려움 12% △부동산 및 주거 문제 11% △학업·진로·취업 문제 10% 등을 꼽았다.
한편 이번 조사는 경기도가 여론조사기관인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7월 26일, 27일, 29일 3일에 걸쳐 유․무선 RDD를 이용한 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