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기업&가치소비] 롯데제과, 카스타드 플라스틱 완충재 종이로 전량 대체
과자 포장 개선 작업 등으로 연간 약 700톤 플라스틱 사용량 절감
사회적 가치를 중시하는 착한 소비가 뜨고 있다. 기업들의 사회공헌 활동과 ESG경영, 친환경 기술·제품 등이 소비자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추세다. 다음 세대까지 생각한 장기적 안목으로 더불어 함께하는 세상을 만들기 위한 기업들과 관련 제품을 ‘착한기업&가치소비’ 코너를 통해 소개하고자 한다.
【투데이신문 김효인 기자】 롯데제과가 다양한 제품의 포장재 개선 등으로 친환경 행보에 나서고 있다.
롯데제과는 카스타드 등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완충재를 전량 종이 재질로 바꿨다고 3일 밝혔다.
롯데제과는 지난 4월 제품에 쓰이는 완충재 등 플라스틱 제거 및 변경 계획을 발표하고 이를 위해 30여억원의 설비 투자비용을 지불했다. 이후 약 6개월에 걸쳐 카스타드와 엄마손파이, 칸쵸에 적용할 수 있는 이상적인 형태의 포장 방법을 개발했다.
이번에 종이 재질로 적용된 대용량 카스타드는 2층 구조로 겹쳐 있던 낱봉을 펼쳐서 납작한 1층 구조로 변경, 각각의 접촉면을 줄여 압력을 분산시켰다. 두 줄 형태의 길쭉한 종이 재질의 완충재를 사용했으며 각각의 칸막이는 없애 낭비를 줄였다.
엄마손파이는 구조 변경 없이 단품과 대용량 모두에 사용되던 플라스틱 완충재를 종이 재질의 완충재로 변경했다. 대용량 칸쵸는 기존의 외포장(비닐)을 종이 재질으로 변경해 사용하던 플라스틱 완충재를 모두 제거했다.
이밖에도 롯데제과는 찰떡아이스와 팥빙수의 플라스틱 용기 중량을 약 10% 가량 줄였으며 칸쵸, 씨리얼 컵 제품의 플라스틱 컵을 종이로 대체하는 작업을 진행, 이르면 11월 중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같은 ‘No플라스틱’ 활동을 통해 롯데제과는 연간 약 700톤의 플라스틱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롯데제과는 최근 카카오 부산물을 활용해 만든 친환경 포장재 ‘카카오 판지’의 적용 제품을 일반 가나초콜릿으로 확대했다. 아울러 지난해부터 빼빼로, 몽쉘 등 여러 제품에 유기용제 대신 에탄올 잉크 등 친환경 잉크를 사용하고 인쇄 도수를 축소하는 한편 포장 디자인을 단순화했다.
한편 롯데제과는 최근 친환경 패키징 전략인 ‘Sweet ECO 2025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친환경 종이 포장재 사용을 4200톤으로 늘린다는 세부적인 계획을 세운 바 있다.
롯데제과 관계자는 “앞으로도 친환경 포장 활동을 이어가며 환경 경영을 실천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