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계 반대 속 김제 스마트팜 혁신밸리 준공
전국 4개 지역서 스마트팜 혁신밸리 추진 “포도송이처럼 성장” 기대 초기부터 졸속추진·생산과잉 초래 등 우려도 “농민들에겐 실익 없어”
【투데이신문 홍기원 기자】 농림축산식품부가 전국 4개 지역에서 조성하고 있는 스마트팜 혁신밸리가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간다. 농업계 내부의 반발과 우려 속에 추진해온 사업이기에 목표한 성과를 낼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농식품부는 29일 전북 김제 스마트팜 혁신밸리가 전국 4개지역 중 처음으로 이날 준공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전북 김제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지난 2018년 8월에 선정됐으며 2년 동안 조성 공사가 진행됐다. 전체 부지규모는 약 21.3㏊(21만3000㎡)이며 보육센터 온실 2.3㏊, 임대형 스마트팜 4.5㏊, 실증단지 온실 1.6㏊ 등으로 구성됐다.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예비 청년농 스마트팜 교육 ▲청년농 대상 임대형 스마트팜 지원 ▲스마트팜 기술의 연구·실증 지원 등이 핵심적인 기능이다. 전북 김제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품목 다변화와 농가 소득 증진을 목표로 기능성 작물의 종자 개발부터 제품화까지 연계하는 모델을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정부는 스마트팜 확산 정책을 국정과제이자 8대 선도과제 중 하나로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2018년 4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스마트팜 확산방안으로부터 시작된 문재인정부 스마트팜 정책의 핵심사업이다.
농식품부 김현수 장관은 이날 준공식에 참석해 “이곳에서 청년들이 스마트농업에 도전하고 지속가능한 농업 혁신을 이뤄 스마트팜이 주변으로 포도송이처럼 성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스마트농업 확산과 기술혁신을 통해 우리 농업이 미래농업으로 나아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스마트팜 혁신밸리 사업은 논의 초기부터 농업계의 반대에 부딪혀 왔다. 농업계에선 졸속 추진과 생산과잉에 대한 우려가 끊이지 않았다. 자본이 부족한 청년들에게 시설비 등으로 진입장벽이 높은 스마트팜을 추천하는 건 부적합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단국대학교 김호 환경자원경제학과 교수는 스마트팜 혁신밸리에 대해 “스마트팜에서 생산하는 품목은 토마토나 파프리카 등으로 한정돼 있기에 농민들에게 실익이 별로 없다고 본다”면서 “농민들보다 사업에 참여한 IT·시설업체 이윤만 증대하는 사업이다”라고 꼬집었다.
한편, 다음달 15일엔 경북 상주 스마트팜 혁신밸리가 준공식을 열며 전남 고흥과 경남 밀양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내년 상반기 중에 공사를 완료할 예정이다. 농식품부와 해당 지방자치단체는 그동안 합동으로 혁신밸리에 참여할 청년과 기업들을 모집하고 운영체계를 구축하는 등 운영 준비에 박차를 가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