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지는 은행들’ 5년간 1275개 폐쇄…금융 소외계층 어쩌나 

2022-02-03     박주환 기자
ⓒ뉴시스

【투데이신문 박주환 기자】 국내 은행들의 점포 폐쇄가 이어지면서 금융 소외계층들을 위한 접근성 확보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3일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총 1275개의 은행 점포가 폐쇄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는 2016년 273개, 2017년 420개, 2018년 115개, 2019년 135개, 2020년 332개로 집계됐으며 특히 지난해에는 10월까지만 238개의 은행이 문을 닫은 것으로 조사됐다. 

가장 많은 점포를 폐쇄한 곳은 하나은행으로 같은 기간 전체의 23.8% 수준인 304개의 은행을 없앴다. 

이어 국민은행 225개(17.6%), 우리은행 165개(12.9%), 신한은행 136개(10.7%), 씨티은행 91개(7.1%) 등의 순으로 점포 폐쇄가 많았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은행 점포 폐쇄가 515개(40.4%)로 가장 많았으며 경기도 245개(19.2%)로 뒤를 이어 지난 5년간 폐쇄된 국내 은행 10개 점포 중 6개는 수도권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부산에서는 98개(7.7%)의 점포가 사라졌으며 대구 74개(5.8%), 경남 54개(4.2%) 등의 순서를 보였다. 

금감원은 국내 은행들의 점포 폐쇄 배경과 관련해 “인터넷․모바일뱅킹 등 비대면거래 증가와 중복점포 정리 확대”가 주된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강민국 의원은 “점포 폐쇄가 은행의 경영 자율성이라고는 하나, 은행이 적자도 아닌데 단순히 인터넷·모바일뱅킹 등 비대면 은행 거래증가를 이유로 점포를 폐쇄한다는 것은 은행이 가진 공공성은 배제한 채, 스마트폰과 자동현금인출기 사용이 불편한 금융소외계층이나 노약자의 금융 서비스 권리를 무시한 처사”라고 비판했다.

이어 “은행들이 점포 폐쇄 등의 현황을 반기별로 대외 발표해 금융 소비자들에게 인지케 하고, 금융 당국의 ‘은행 지역재투자 평가’ 시, 점포 감소에 대한 감점 부과 폭을 확대해 불이익을 부여하도록 강화시켜 금융 접근성을 확보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