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민, ‘주거’ 문제로 전출…수도권서 주택 마련 목적
【투데이신문 박효령 기자】 서울 시민들이 대규모 신규주택을 찾아 수도권으로 전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서울로 전입하는 주된 요인은 직장과 교육 등으로 조사됐다.
서울연구원(이하 연구원)은 13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수도권 내 서울 인구 전출입 패턴과 요인’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원은 통계청의 ‘2020년 국내인구이동통계 원시자료’와 자체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분석을 진행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2020년 한 해 동안 서울에서 157만8127명이 전입, 164만2977명이 전출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서울시 인구 총 6만4850명이 줄었다.
서울 시민의 주요 전출지는 하남, 화성, 김포, 시흥, 남양주 등으로 집계됐다. 해당 지역들은 대표적인 대규모 도시개발이 이뤄지는 곳으로, 연구원은 서울 인구 전출을 유발한 주요 원인으로 △양질의 주택수요와 맞물린 수도권 주택지 개발 △신도시 건설 등으로 분석했다.
실제 서울에서 전출 후 자가를 마련했다는 이주 경험자 비율이 30.1%에서 46.2%로 올랐고, 아파트 거주 비율도 42.6%에서 66.8%로 증가했다. 이에 더해 서울에서 수도권으로 이주한 후, 주택규모가 증가했다고 응답한 비율도 62.46%로 나타났다.
하지만 서울에서 전출, 경기·인천으로 이주한 경우에도 시민 46.5%는 여전히 서울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경인 거주자 중 주 1회 이상 서울 방문하는 시민이 50.4%, 월 1회 이상 방문하는 비율이 81.3%로 조사됐다. 방문 목적은 직장·학교 생활이 36%로 1위를 차지했다.
반대로 직장 등의 사유로 서울 전입을 택하기도 했다. 지난 2020년 기준 경기도에서 서울로 유입된 인구는 7만5886명으로, 교육 및 직장 사유로 전입을 택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20대에서만 순 전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에 전입한 시민들은 증가된 편익으로 주거보다는 평균 통근·통학 시간이 72분에서 42분으로 감소하는 등 교통 여권을 주로 꼽았다.
박형수 서울연구원장은 “서울의 인구 감소는 견고한 추세로 상당 기간 지속되고 있으며 3기 신도시 개발과 국토 균형발전 정책 등을 감안할 때 서울의 인구 감소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예측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하지만 신규주택 공급 부족으로 서울을 떠난 사람들 중 많은 수가 서울 생활권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며 “또한 교육과 직장을 위한 서울 순전입은 여전히 많은 상황이기 때문에 인구변화의 방향과 속도를 관리하고 대응하는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