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노동자 97.6% “71세까지 계속 일하기 원해”
【투데이신문 전유정 기자】60세 이상 노인 노동자의 97.6%가 계속 일하기 원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지난 4월 60세 이상 노인 노동자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담은 ‘증가하는 노인 노동, 일하는 노인의 권리에 주목할 때’ 보고서를 통해 18일 이같이 밝혔다.
노인 노동자들은 계속 일하기를 희망하는 이유를 △건강이 허락하는 한 일하고 싶어서(46.3%) △돈이 필요해서(38.1%) 순으로 꼽았다. 이들이 희망하는 퇴직 연령은 평균 71세까지였다.
일자리 선택 시 중요하게 여기는 사항은 △고용 안정성(22.8%) △일의 양과 시간대(21.4%) △임금수준(17.8%) 등이었다.
노동 중 겪는 어려움으로는 △낮은 임금(24.2%) △신체적 어려움(17.4%) △연령 차별(14.1%) 등을 꼽았다.
이들은 필요다고 느낀 정책적 노력은 △연령 차별 없는 고용체계(29.6%) △노인 친화적 근무환경 조성(24.5%) △수준과 경력에 맞는 일자리 연계(21.5%) 순이었다.
지난해 8월 실시된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에 따르면 전국 60세 이상 인구 1269만명 중 노인 경제활동인구는 577만명으로 경제활동참가율 45.5%를 차지했다.
노인 노동자의 월평균 임금은 167만4000원으로 전체 임금근로자(273만4000원)에 비해 약 100만 원이 낮은 수준이었다.
이에 연구원은 노인 노동자의 권리 보장을 위한 추진전략으로 △노인 친화적 근로환경 조성을 위한 노인 노동력 활용 기준에 관한 조례 제정 △노인 일자리 정책 세분화 △노인 노동조합 활성화 △노후소득보장정책 강화 등을 제시했다.
경기연구원 김윤영 연구위원은 “생계를 위해 일자리가 필요한 노인들은 열악한 노동조건과 부당한 대우에 문제를 제기하기 어렵다”라며 “노인 노동자가 처한 열악한 근무환경의 즉각적인 개선을 위해 노인 노동자 고용 및 활용 기준에 대한 지역별 가이드라인 마련이 시급하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