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공사 “한전 대규모 적자, 우리 탓 아냐” 적극 해명
【투데이신문 홍기원 기자】 한국가스공사가 수요예측 실패하며 한국전력공사의 대규모 적자를 유발했다는 지적에 거듭 반박하고 나섰다. 가스 수급은 정부, 국내 발전사와 협의 하에 운영되며 1분기 흑자는 판매 특성상의 이유라는 해명이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가스공사는 최근 잇따르는 수요예측 실패 비판을 해명하는데 적극 나서고 있다. 한전의 대규모 적자는 가스공사의 수요예측 실패에 비롯됐는데도 가스공사는 막대한 흑자를 내고 있다는 분석이 사실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는 모습이다.
가스공사는 10일 해명자료를 통해 “공사의 스팟을 포함한 LNG 도입은 석탄, 원전, 신재생 등 타 전원의 가동 상황에 따라 국내 발전사 및 정부 등 유관기관과의 긴밀한 협의로 운영되고 있다. 정부 승인 하에 스팟물량을 구매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로 인한 초고가 LNG 현물구매를 최소화하고자 수요감축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가스공사는 지난해 위기에 대비해 물량을 미리 확보하지 못했다는 지적에 “지난해 초 동북아 LNG 현물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2배 이상 상승한 비싼 가격이었다”라며 “가스공사는 지난해 4월 석탄발전 상한제 도입 이후 증가한 필요 물량을 현물가격이 하락한 지난해 하절기부터 구매해 동절기 대비 물량 확보 노력을 지속했다”고 주장했다.
앞서 8일에도 가스공사는 해명자료를 내고 1분기 흑자와 공급규정 개정에 대해 조목조목 문제가 없다고 부연했다. 가스공사는 1분기 9126억원의 흑자를 기록한 것은 판매 특성상 1분기에 연간 영업이익 대부분이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짚었다. 가스공사의 최근 5개년 평균 1분기 영업이익은 8936억원으로 올해 영업이익이 특별히 많은 상황은 아니다.
가스공사는 지난해 12월 민수용과 발전용의 원가를 구분해 요금을 책정하도록 요금제도를 개정한 바 있다. 이에 대해 가스공사는 “기존 평균원료비 체계에서는 원인 유발자와 무관한 용도별 동일요금 부담으로 교차보조가 발생하고 서민들의 부담이 증가할 수 있었다”라며 “인과관계에 따른 용도별 원가 배분으로 요금의 합리성 제고와 민수용 수요자의 부담을 경감시킨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