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용산공원 개방 “아이들 교훈 주는 공간 되길”

尹, 한덕수 국무총리와 첫 주례회동서 입장 밝혀 임시개방 전 기준치 30배 넘는 발암물질 검출돼 국토부, 안전성 논란 개방...9월후 임시개방 강행

2022-06-13     윤철순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13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집무실에서 한덕수 국무총리와 주례회동 사전환담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투데이신문 윤철순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0일 시범 개방된 ‘용산 공원’에 대해 “아이들이 부모님과 와서 자기가 태어나고 앞으로 살 나라가 어떤 나라인지 좀 배울 수 있는 그런 공간이 되도록 해야 하지 않겠나 싶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는 13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가진 한덕수 국무총리와의 주례회동 자리를 통해서다.

한 총리 임명 후 처음 가진 이날 회동에서 윤 대통령은 한 총리가 “벌써 이쪽(용산공원)이 개방돼 사람들이 왔다 갔다 한다”며 놀라움을 표하자 이렇게 말했다.

윤 대통령은 “여기야말로 러일전쟁 이후 지금까지 120년 동안 국민에는 금단의 지역이었다”며 “볼 것이 청와대보다 많지는 않아도 와 보시는 분들이 감개무량해 하시는 것 같다”고 했다.

이에 한 총리는 “용산공원 같은 데를 완전히 현대화해 사람들이 걷기 좋고 이렇게 만드는 것도 방법이지만, 저는 원형을 그대로 보존해 사람들이 역사적인 것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그러나 용산공원은 개방에 앞선 환경조사 결과, 토양에서 기준치의 최대 34배가 넘는 발암 물질이 검출되는 등 안전성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정부는 편의 시설 미흡 등의 준비 부족을 이유로 한차례 공개 일정을 미루기도 했다.

그럼에도 국토부는 이번 시범 개방에 이어 9월부터 임시 개방하겠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정부는 오는 19일까지 용산공원 내 장군 숙소 등 약 10만㎡ 면적을 일반 국민에게 시범 개방한다. 환경·시민단체가 즉각 임시 개방 중단을 촉구하는 가운데 정부는 공원 이용 시간을 2시간으로 제한했다. 그러나 별도의 이용시간을 저지하는 시스템은 없어 당분간 유해성 논란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