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민 장관, “이태원 참사, 경찰·소방 대응이 원인인지 의문” 발언 하루 만에 사과
【투데이신문 박효령 기자】 행정안전부 이상민 장관의 이태원 참사 관련 언행이 책임 회피 논란을 일으킨 가운데, 이 장관이 하루 만에 입장을 표명했다.
1일 정부에 따르면 행정안전부(이하 행안부)는 전날 이태원 사고 관련 긴급 브리핑 당시 발언에 대한 이 장관의 입장을 발표했다.
앞서 이 장관은 지난달 30일 ‘이태원 참사’ 관련 긴급 브리핑에서 “국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가 풀리는 상황이 있었지만 정부가 파악하기로는 예년과 비교했을 때 특별히 우려할 정도로 많은 인파가 모였던 것은 아니었다”며 “경찰·소방 인력이 미리 배치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었던 문제는 아니었던 것으로 지금 파악하고 있다”고 말해 주무부처의 장관임에도 관련 책임을 회피한다는 논란이 일었다.
이에 대해 이재명 대표를 포함한 더불어민주당 지도부는 이날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이 대표는 “정부 당국은 ‘나는 책임이 없다, 할 만큼 했다’와 같은 태도를 보여 국민을 분노케 하는 것이 아니라 낮은 자세로 오로지 국민만을 위하고 모든 것이 내 책임이란 자세로 사태 수습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참혹한 사태가 벌어진 것에 대해 당연히 사후 조치 뒤따라야겠지만 현재로서는 일단 수습과 위로에 총력 다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 장관 발언에 대한 비판은 여당에서도 제기됐다. 국민의힘 차기 당권 주자인 김기현 의원은 같은 날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의 전화 인터뷰를 통해 “국민들의 아픔을 이해하고 동참하는 모습이 아닌 형태의 언행은 조심했어야 한다”고 꼬집었다.
논란이 계속되자, 이 장관은 “정확한 원인을 알아야 앞으로도 대참사를 면할 수 있기 때문에 경찰의 정확한 사고 원인이 발표되기 전까지는 섣부른 예측이나 추측, 선동성 정치적 주장을 해서는 안된다는 취지”라고 해명했다.
이후에도 이 장관은 공식 입장 발표를 통해 고개를 숙였다. 이 장관은 “이번 사고로 돌아가신 분들의 명복을 빈다”며 “재발방지를 위해서는 정확한 사고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만, 국민들이 염려할 수도 있는 발언을 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사과했다.
그러면서 이 장관은 앞으로 사고 수습에 더욱 전념하겠다고 덧붙였다.
다만 대통령실에서는 제도상 보완이 필요한 부분도 있다며 이 장관을 두둔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현재 경찰에 부여된 권한이나 제도로는 이번 이태원 참사와 같은 사고를 예방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이해하고 있다”며 “법적, 제도적으로 권한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앞으로 보완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