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본 “이태원 참사 ‘사망자’ 표현은 권고일 뿐…‘희생자’ 얼마든지 가능”
【투데이신문 박효령 기자】 정부가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사망자’라는 표현은 권고 사항으로 ‘희생자’ 등의 표현을 사용해도 된다는 입장을 내놨다.
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이하 중대본)에 따르면 박종현 사회재난대응정책관은 전날 이태원 사고 중대본 브리핑에서 이같이 설명했다.
박 정책관은 “정부가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사망자’ 표현을 쓴 것은 전혀 아니다”며 “재난 관련 용어를 최대한 중립적으로 쓰는 내규에 따른 것이었다”고 해명했다.
이어 “‘희생자’라는 표현을 써도 된다”며 “사고, 사망자 표현은 권고 사항일 뿐 희생자, 참사, 피해자 등의 표현은 얼마든지 쓸 수 있다”고 말했다.
같은 날 행정안전부 김성호 재난안전관리본부장도 “가해자 책임이 명확하게 나온 부분에 대해서는 ‘희생자’ 및 ‘피해자’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상황이 객관적으로 확인되고 명확해지지 않은 시점에서는 중립적인 용어가 필요해 ‘사망자’와 ‘사상자’라는 용어를 사용했다”고 강조했다.
앞서 행정안전부는 일선 광역지자체에 합동분향소를 시·도별로 1곳씩 설치하고 분향소 표시는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분향소’, 제단 중앙에는 ‘이태원 사고 사망자’라고 표기하라는 내용이 담긴 공문을 배포했다.
‘참사’ 대신 ‘사고’, ‘희생자’ 대신 ‘사망자’로 기재하라는 지침에 대해 일각에서는 정부가 책임회피와 사고 축소 의도가 있다고 비판을 제기했다.
이에 먼저 광주광역시 강기정 시장은 이날 광주시청과 광주시의회 사이 1층 외부에 설치된 합동분향소의 현수막을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분향소’에서 ‘이태원 참사 희생자 합동분향소’로 교체한다고 발표했다.
교체 배경에 대해 강 시장은 “참사 초기 추모 분위기에 역행하는 논란이 일까 싶어 행정안전부의 지침에 따랐다”며 “하지만 이태원의 참상이 경찰 초기 대응 실패가 그 원인이라는 점이 분명해진 지금, 희생자들을 제대로 추모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행정안전부에게 다시 관련한 지침을 내려달라고 촉구했다.
현재 광주시 외에도 서울시교육청, 전라남도, 제주도 등도 분향소 명칭을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분향소’에서 ‘이태원 사고 희생자 합동분향소’로 변경했다.
한편 중대본에 의하면 이태원 참사로 숨진 내국인 121명의 발인을 마쳤으며, 외국인 7명은 본국으로 송환됐다. 현재 빈소에 안치된 인원은 9명, 송환을 기다리고 있는 외국인은 19명이다. 부상자 173명 중 135명은 귀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