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떳떳한 가족이 되고 싶다”…‘이태원 참사’ 유가족 65명, 협의회 구성 추진
【투데이신문 박효령 기자】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지 한 달이 지난 가운데 희생자 유가족들이 협의회 구성을 추진한다.
이태원 참사 희생자 65명의 유가족은 29일 공식 성명서를 통해 ‘10·29 이태원참사 희생자 유가족 협의회(가칭) 준비모임’(이하 준비모임)을 구성했다고 밝혔다.
협의회 추진 배경에 대해 이들은 정부에 유가족들의 목소리를 정확하게 전달하고, 희생자들의 억울한 죽음에 대한 진상을 규명하며, 책임자들에게 합당한 책임을 묻기 위해 구성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해당 협의체가 출범될 경우, 모든 희생자 유가족들이 언제든지 합류할 수 있게 된다고 준비모임은 덧붙였다.
이들은 “참사 이후 소통할 수 있게 하는 정부의 조치가 없었기 때문에 유가족들은 고립된 채 슬픔과 고통을 이겨내야만 했다”며 “이에 유가족들은 자발적으로 서로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찾아야만 했고, 현재 이렇게나마 희생자 65명의 유가족들이 모일 수 있었다”고 토로했다.
이어 “수많은 시민분들이 유가족들을 도와주고 위로해주고 있지만 정작 정부는 제대로 된 사과는 물론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정부가 참사 초기부터 책임을 회피하고 거짓 해명을 하는 등 유가족들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주고 있다고 꼬집었다.
준비모임은 “희생자들이 언제, 어떻게 사망했고, 어떻게 그 병원으로 가게 됐는지, 향후에 어떠한 조치를 취해줄 것인지 유가족들에게 설명해주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며 “앞서 정부는 유가족의 의사를 묻지 않고 위패 없는 합동분향소를 운영하고, 추모기간을 설정했으며, 선심을 쓰는 양 장례비 및 위로비 지급을 발표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정부가 빠짐없는 진상 및 책임규명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닌 일부 책임자들에 대해서만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준비모임은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들은 “제대로 된 진상 및 책임규명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왜 정부는 국가배상을 검토하겠다는 이야기부터 하냐”며 “국가배상을 받아봤자 우리가 사랑하는 158명의 희생자들은 돌아오지 않는다”고 호소했다.
이들은 정부가 추모 및 소통 공간 마련조차도 유가족들에게 의견을 구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단행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준비모임은 “유가족의 요구를 세심히 살피고 배려하는 정부였다면, 협의를 선행하지도 않은 채 일방적으로 협의체 구성과 추모공간에 동의하냐고 묻는 무례한 설문조사를 보내지 않았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이들은 “저희 유가족들은 희생자들에게 떳떳한 가족이 되기 위해 협의회를 구준비할 예정”이라고 선언했다.
앞서 지난 22일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은 서울 서초구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이하 민변) 대회의실에서 첫 기자회견을 진행하기도 했다.
당시 유가족과 민변 측은 정부에 △진정한 사과 △성역 없는 엄격하며 철저한 책임규명 △피해자들의 참여를 보장하는 진상 및 책임 규명 △참사 피해자의 소통 보장 및 인도적 조치 등 적극적인 지원 △희생자들에 대한 온전한 기억 및 추모를 위한 시설 마련 등 적극적 조치 △2차 가해를 방지하기 위한 입장 표명 및 구체적 대책의 마련 등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