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올리브영, 소비 성향 분석…올해 결산 키워드 ‘M.I.N.G.L.E’ 선정
【투데이신문 조유빈 기자】 올해 엔데믹과 더불어 고물가‧고환율 등 소비의 흐름에 여러 변수가 많았던 가운데, CJ올리브영(이하 올리브영)이 결산 키워드를 발굴했다.
올리브영은 약 1억1000건의 연간 고객 구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올해 결산 트렌드 키워드를 ‘M.I.N.G.L.E(밍글)’로 선정했다고 20일 밝혔다.
올리브영이 선정한 결산 키워드 ‘M.I.N.G.L.E(밍글)’은 다양한 소비 형태가 복합돼 어우러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M.I.N.G.L.E’은 각각 ▲온·오프라인 쇼핑을 심리스하게 즐기는 소비자들(Multi shoppers)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소비 양극화(Inflationary Janus) ▲마스크 해제와 야외 활동의 회복(No-mask beauty) ▲판을 흔드는 게임 체인저의 등장(Game changer) ▲삶의 질을 높이는 ‘라이프 플레저’ 시대(Life pleasure) ▲나만의 취향을 찾는 체험형 소비 각광(Exploring new) 등의 뜻을 가진다.
먼저 ‘M’은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몰뿐만 아니라 라이브 방송, 모바일 선물하기 등 여러 채널과 서비스를 경계 없이 이용하는 고객이 늘어난 것에 기인됐다. 올리브영에 따르면 1200만명의 멤버십 회원 중 온·오프라인을 모두 이용하는 회원 비중은 약 51%(11월 말 기준)를 차지했다. 지난 2019년 그 비중이 30%였던 것과 비교하면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I’는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이른바 ‘3중고(高)’로 인해 ‘야누스 소비’라 불리는 소비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짐에 따라 제시됐다. 또 ‘N’은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와 함께 엔데믹으로 접어들면서 야외 활동과 관련된 상품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인 것에서 비롯됐다.
이밖에도 각각 올해 뷰티‧헬스 시장에서 수많은 루키 브랜드와 상품들이 등장해 판도를 바꾸는 모습에서 ‘G’가, 삶의 질을 높이는 데에 관심을 갖는 소비자들의 증가하는 모습에서는 ‘L’이, 나만의 개성과 취향 등을 직접 체험하면서 찾아가는 소비 트렌드에서는 ‘E’가 제시됐다.
올리브영 관계자는 “올해는 불안정한 경기 상황 속에서도 개개인의 니즈와 루틴에 맞게 소비하려는 트렌드가 두드러지면서, 여러 가지의 소비 형태가 복합돼 어우러지고 있다”며 “올리브영은 앞으로도 고객이 원하는 상품과 브랜드를 적극 발굴하며 뷰티와 헬스, 라이프스타일 트렌드를 선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