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가락·강서시장 유통 농수산물 방사능 안전성 검사 강화
3중 검사시스템으로 불안감↓ 방사능 간이검사, 두 배 늘려 찾아가는 검사소도 운영 예정
【투데이신문 윤철순 기자】 일본 정부가 이르면 오는 6월부터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서울시가 도매시장 유통 농수산물에 대한 방사능 안전성 검사 강화에 나섰다.
서울시는 21일 서울농수산식품공사와 함께 시민들의 안전한 밥상을 위해 서울시민 먹거리의 50% 이상을 유통하고 있는 가락시장과 강서시장 농수산물의 안전성 검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시는 특히, 휴대용 방사능 계측기를 활용한 간이→집중→정밀검사 등의 3중 검사시스템을 통해 수입 수산물에 대한 시민 우려와 불안감을 줄여 사각지대를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대한 일환으로 현재 시장에서 유통되는 농산물과 수산물에 대해 지난해 월 420건씩 실시했던 휴대용 방사능 계측기 간이검사를 이달부터는 월 840건으로 2배 늘려 시행하고 있다.
간이검사는 농수산물 표면을 휴대용 방사능계측기로 측정, 공간 오염도 등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여기에 더해 시는 이달 말부터 농수산물 시료의 알파(α)‧베타(β)방사선량을 측정하는 검사기기를 도입해 돔과 명태, 가리비 등 수입수산물에 대한 집중검사를 병행한다.
이 검사기기는 기존의 식약처와 서울시에서 실시하는 감마선 핵종성분과 함께 방사선의 다른 종류인 알파선과 베타선량을 측정해 방사능검사의 사각지대를 해소한다는 장점이 있다.
의심 품목에 대해선 시 보건환경연구원에 의뢰해 요오드‧세슘 감마 핵종성분 등에 대한 정밀검사도 진행해 방사능 오염 여부를 확실하게 분별한다.
두 시장의 방사능 검사 결과는 매주 1회 업데이트되며, 서울시식품안전정보와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시는 다음 달부터 매월 1회 ‘찾아가는 방사능 검사소’도 운영할 예정이다. 소비자나 상인들이 요청하는 농수산물 검사를 현장에서 실시, 결과를 즉시 확인하도록 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서울시민이 직접 농수산물의 안전성 검사 전반에 참여하는 ‘농수산유통 안전지킴이’ 제도도 올해 처음 운영된다.
시민 25명으로 구성될 안전지킴이는 검사용 시료 채취, 방사능검사 참관, 미생물 검사를 비롯해 부적합 농산물의 폐기, 농수산물 원산지 표시 지도에 이르기까지 먹거리 안전을 지키는 다양한 역할을 하게 된다.
농수산유통안전지킴이 참여를 원하는 시민은 농수산식품공사 홈페이지에서 자세한 내용 확인 후 오는 27일까지 신청하면 된다. 활동기간은 다음 달부터 10월까지다.
한편,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는 지난 2013년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으로부터 ‘공인안전성검사기관’으로 지정받았으며, 현재 도매시장 농수산물을 대상으로 잔류농약, 중금속, 방사능, 미생물 검사 등을 실시하고 있다.
지난해 총 3만 4141건의 안전성 검사를 실시했고, 부적합으로 판정된 87건은 시중에 유통되지 않도록 전량 폐기조치 했다. 올해도 3만6000여건의 검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정덕영 서울시농수산유통담당관은 “잔류농약과 방사능에 대한 우려가 많은 농산물과 수입수산물에 대한 집중적이고 꼼꼼한 안전성 검사를 실시해 시민들의 밥상 먹거리를 안전하게 지키고 불안은 해소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