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대통령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아베신조 일본 총리 ⓒ뉴시스

【투데이신문 장승균 기자】일본을 둘러싸고 한미관계가 수상하다. 북한에 대해서는 한미관계가 공고하다고 할 수 있지만 일본을 놓고 한미관계가 수상한 기류가 흐르고 있다.

웬디 셔먼 미국 국무부 정무차관이 지난달 27일(현지 시각) 한중일 갈등과 관련해 각국 지도자들에게 ‘과거사 문제’로 민족주의 감정을 자극하지 말 것을 강력하게 주문했다.

이 내용만 살펴보면 일본에게도 경고한 듯한 모습이다. 하지만 일본에는 과거사에 대한 반성과 사과를촉구하지 않은 채 한중일 협력 필요성만 강조했다. 이에 ‘과거사를 덮고 가자’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일고 있다.

셔먼 정무차관은 “한국과 중국이 이른바 ‘위안부’ 문제를 놓고 일본과 다투고 있으며 역사교과서 내용, 심지어 다양한 바다의 명칭을 놓고 이견이 표출되고 있다”며 “이해는 가지만 좌절감을 안겨준다”고 언급했다.

이어 “물론 민족주의 감정이 여전히 이용될 수 있으며, 어느 정치 지도자도 과거의 적을 비난함으로써 값싼 박수를 받는 것은 어렵지 않다. 그러나 그런 도발은 진전이 아니라 마비를 초래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과거에 있었던 것을 넘어서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셔먼 정무차관의 발언은 사실상 한국과 중국을 겨냥한 발언이다. 한국과 중국의 정치지도자들이 일본 과거사 문제를 국내 정치에 이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일본의 반성에 대해서는 일언반구도 없었다. 미국이 그동안 일본을 향해 과거사 문제에 대해 주변국들이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전향적 태도를 촉구해왔다. 그런데 오바마 정부가 동북아에 대한 정책 기조를 바꾸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물론 대북 문제에 대해서는 확고하다. 대북문제에 대해서는 한미공조가 확고하다. 하지만 일본의 과거사 문제에 대해서는 오바마 정부가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

이는 일본의 외교력이 미국을 덮었던 반면 우리 정부의 외교력이 일본에 미치지 못한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일본의 경우 미국내 친일파 인사들을 대거 길러왔다. 때로는 합법적인 로비를 통해서라도 친일파 인사를 길러낸 것이다. 반면 우리 정부는 미국 내 친한파 인사를 제대로 길러내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여기에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일본의 역할이 필요하면서 과거사 문제를 과감하게 덮겠다는 오바마 정부의 의중이 보이고 있다.

그러는 와중에 박근혜 대통령은 일본을 향해 과거사 문제에 대해 전향적인 태도 변화를 촉구했다. 하지만 미국을 등에 업은 일본 아베 정부가 과연 전향적인 태도 변화를 할지 여부는 불투명하다. 메아리 없는 외침이라고 할 수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