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홍상현 기자】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지난 9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은 처음부터 끝까지 ‘김대중 전 대통령’에게 맞춰졌다. 이는 호남 민심은 물론 동교동계와의 화해를 위해서라는 해석을 낳고 있다.

그런데 왜 하필 1971년으로 시계를 돌렸을까. 1971년은 정치사로는 상당한 의미를 담고 있다. 그것은 바로 박정희 전 대통령과 김대중 당시 신민당 대선 후보의 용호상박의 대선 싸움이 있었던 해이기 때문이다.

그 당시는 그 어느 때보다 정권교체의 갈망이 컸던 한 해였다. 박정희 전 대통령으로서는 큰 위기를 맞이한 해였다.

김대중 당시 대선 후보는 또 다른 경쟁자인 김영삼 전 대통령을 꺾고 그해 대선 후보로 우뚝 섰다. 당시 대선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은 539만표를 얻어 634만표를 얻은 박정희 전 대통령에게 패배했다.

이는 그 전에 있었던 대선에 비해 상당히 줄어든 격차였다. 그리고 국민 전체적으로 신민당이 46%나 득표하는 선전을 벌였다.

더욱이 얼마 뒤 치러진 제8대 총선에서는 신민당이 개헌 저지선(204석 가운데 69석이 개헌 저지선이며, 실제로 확보한 의석은 89석)보다 많은 의석을 얻었다.

이대로 가면 박정희 전 대통령의 영구집권은 사실상 불가능해지는 상황이다. 이를 박정희 전 대통령도 인식하게 됐다.

그해 1971년은 그런 한 해였다. 결국 박정희 전 대통령은 그 다음해 10월17일 위헌적 계엄과 국회산 및 헌법 정지 등을 골자로 하는 대통령 특별선언을 발표했다. 이른바 유신 독재가 시작된 것이다.

1971년 그 해는 유신 독재를 만들게 만든 그런 해였다. 그런 그 해의 장충단공원에서의 선거 유세는 지금도 회자가 되는 명연설이다. 그 연설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은 ‘특권경제’를 끝내겠다고 주장했다.

그것이 오늘날 비즈니스 프렌들리와 일맥상통하다고 문재인 대표는 생각한 것이다. 문재인 대표는 1971년 장충단공원 연설을 차용함으로써 호남 민심과 동교동계와의 화해를 시도한 것뿐만 아니라 김대중 전 대통령이 박정희 전 대통령과 맞서 싸웠다는 것을 강조함으로써 현재 박근혜 대통령과 맞설 인물로 자신을 부각시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박근혜 정권심판론을 우회적으로 표현한 교섭단체 대표연설이라고 할 수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